직장인 10명 중 4명 “지난해 저축 못했다”

입력 2017-01-26 09: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람인 ‘2016 저축현황’ 조사

직장인 10명 중 4명은 지난해 저축을 하다가 중단하거나, 아예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765명을 대상으로 ‘2016년 저축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43.4%가 저축을 꾸준히 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61.1%는 ‘전혀 하지 못했다’, 38.9%는 ‘하다가 중단했다’고 답했다.

저축을 꾸준히 하지 못했다는 응답 비율은 ‘기혼’이 53.6%로 ‘미혼’ 39.2%보다 14.4%p 많았다.

저축을 꾸준히 하지 못한 응답자 332명은 그 이유로 ‘월급이 적어서’(50.6%,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대출, 카드 연체 등 빚이 있어서’(34.9%), ‘생활비가 많이 들어서’(31.9%), ‘물가가 너무 올라서’(31.3%), ‘월세 등 주거비 지출이 많아서’(22.6%), ‘갑작스러운 큰 지출이 생겨서’(19.3%), ‘가족을 부양해야 해서’(16.9%), ‘평소 씀씀이가 커서’(12.3%) 순이었다.

이들이 느끼기에 가장 부담스러운 지출 항목 1위는 ‘주거비’와 ‘대출금 상환 등 빚’(각각 25.3%)이었다. 이외에 ‘식비’(13.6%), ‘자녀 보육비’(6.6%), ‘여가 및 문화생활비’(3.9%), ‘부모님 등 가족 용돈’(3.9%), ‘쇼핑 등 품위유지비’(3.6%), ‘각종 공과금’(2.7%) 등이 있었다.

반면, 저축을 꾸준히 한 직장인 433명이 지난해 모은 저축액 평균은 1089만 원으로 집계됐다.

2017년에 저축 계획이 있는 직장인은 86.9%였고, 이들이 2017년에 목표한 저축액은 평균 1185만 원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이 저축을 하는 가장 큰 목적 1위는 ‘결혼자금’(26%)이었다. 이어 ‘주거비 마련’(22%), ‘노후대비’(17.3%), ‘단순 목돈 마련’(17%), ‘부채 탕감’(5.3%), ‘여행자금’(2.7%), ‘자녀교육’(2.4%), ‘대학원 진학 등 자기계발비’(1.7%), ‘부모님 부양’(1.1%) 등이었다.

반면, 올해 저축을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직장인은 100명이었다. 이유로 ‘생활비가 너무 많이 들어서’(46%), ‘월급이 별로 안 오를 것 같아서’(45%), ‘대출금 등 부채를 갚기 위해서’(40%) 등을 들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단독 금융당국 ‘스왑뱅크’ 논의 본격화…주금공 유력 검토
  • [날씨] 입춘 지나도 이어지는 살얼음 추위…전북ㆍ제주선 폭설
  • 이재용·올트먼·손정의 회동 마쳤다…스타게이트 참여에 ‘촉각’
  • 오늘(5일) 롤 패치 업데이트 서버 점검 실시…언제까지?
  • "예상보다 빠르고 깊은 캐즘" 공급과잉 시달리는 배터리 핵심광물
  • "투자도 잘하네"…'피겨 퀸' 김연아가 사는 마크힐스는 [왁자집껄]
  • '세기의 사랑' 앗아간 사망까지…독감만큼 무서운 '이것'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2.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852,000
    • -3.42%
    • 이더리움
    • 4,224,000
    • -6.45%
    • 비트코인 캐시
    • 516,500
    • -7.19%
    • 리플
    • 3,969
    • -6.48%
    • 솔라나
    • 323,700
    • -5.05%
    • 에이다
    • 1,165
    • -9.27%
    • 이오스
    • 970
    • -4.53%
    • 트론
    • 352
    • -2.49%
    • 스텔라루멘
    • 538
    • -7.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350
    • -5.23%
    • 체인링크
    • 31,090
    • -9.2%
    • 샌드박스
    • 632
    • -7.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