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흑자는 100만 원을 넘어서며 연간 단위로 최대치를 기록했으나 이는 허리띠를 졸라맨 ‘불황형 흑자’였다. 경기 불황의 골이 깊어지면서 먹고 입는 것까지 줄이는 모습이었다.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고 오락·문화 지출도 12년만에 처음 감소세를 보였다. 옷, 교육, 차, 휴대전화 지출도 감소했다.
반면 빚이 늘면서 채무조정 신청과 은행 예·적금 해지 비율은 증가했다. 술과 담배 지출도 2년 연속 늘었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가구당 월평균 소득(명목·전국 2인가구 이상)은 439만9000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은 336만1000원으로 가구당 월평균 흑자액은 103만8000원이었다.
연간 단위로 가구당 월평균 흑자액이 100만 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고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흑자액은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규모다.
이에 반해 지난해 가계지출은 전년보다 0.4% 줄었다. 가계지출 감소는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대부분 소비품목에서 지출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가구당 식료품·비주류음료 소비지출은 월평균 34만9000원으로 1년 전보다 1.3% 감소했다. 감소폭은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크다.
작년을 제외하고 먹는 데 들어가는 지출이 감소했던 때는 2009년(-0.2%)과 2013년(-0.3%) 두 번뿐이었다.
가구당 의류·신발 지출은 15만8000원으로 1년 전보다 2.4%, 경조사비 비중이 큰 가구간이전지출은 20만3000원으로 4.3% 감소했다.
휴대전화 기기 구입 감소로 지난해 통신장비 지출은 15.2% 감소했고 자동차 구입은 4.5% 줄었다.
단체 여행비, 서적, 캠핑 및 운동용품 등이 포함되는 오락·문화 지출도 0.2% 줄었다. 오락·문화 지출이 감소한 것은 2004년 이후 처음이다.
학원 등 교육 지출도 0.4% 줄어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술·담배 지출은 5.3% 늘었다. 2년 연속 증가세다.
예금과 적금을 깨는 사람들도 늘어났다. 금융감독원 통계에 따르면 2016년 정기예금과 적금의 중도해지비율은 35.7%였다.
예금과 적금의 중도해지비율은 2014년 33.0%, 2015년 33.4% 등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소득은 부진하고 빚이 늘면서 채무조정 신청자도 늘었다.
지난해 말 가계신용 잔액은 1344조3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141조2000억 원(11.7%) 급증했는데 이는 연간 증가액으로 사상 최대다.
신용회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채무조정 신청자는 9만6319명으로 2015년보다 5.2%(4799명) 증가했다.
불황 속 일확천금에 대한 수요는 늘었다. 복권 판매액은 계속 증가했고 특히 로또는 가장 많이 팔렸다.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복권판매 수입은 3조8404억 원으로, 전년보다 8.4% 증가했다.
복권 판매 수입은 2015년 3조5551억 원으로 2003년의 4조2342억 원 이후 1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로또 복권 판매액은 3조5221억 원으로 사상 최대 규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