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가 한목소리로 기후변화와의 전쟁을 선포할 때 한발 물러나 있었던 중국과 인도가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중국과 인도가 재생 에너지에 투자를 가속화해 환경 대국으로 도약할 조짐을 보인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최근 보도했다.
지난주 독일 본에서 열린 196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회의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 당시 중국과 인도가 목표로 한 배출가스 감축량은 쉽게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과 인도는 각각 온실가스 생산국 1위, 3위를 차지한다. 온실가스 생산의 주범이었던 두 나라가 기후 변화의 해결사로 돌변한 것이다. 현재 중국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정점을 찍는 뒤 이를 줄이겠다고 밝혔다. 인도는 애초 계획보다 8년 앞당겨 2020년까지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총 전력의 40%를 생산하겠다고 천명했다.
양국이 화석 연료에서 재생 에너지로 전환하는 속도는 전문가들의 기대보다 빠르다. 중국은 지난 3년간 꾸준히 석탄 사용량을 줄였으며 100개 이상의 석탄발전소 건설 계획을 폐기했다. 전기차 시장도 중국에서 급성장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친환경차 보급 확대에 사활을 걸면서 작년 중국에서 전기차 시장은 70% 성장했다.
인도도 마찬가지다. 인도 정부는 현재 건설 중인 석탄발전소 외에 추가 건설이 필요치 않다고 판단하고 대형 화력발전소를 세우려던 계획을 취소했다. 인도 구자라트 주 정부는 지난해 4000메가와트(MW)급 초대형 석탄 화력발전소 설립 계획을 세웠으나 중앙 정부의 반대로 지난 19일 이를 취소한다고 밝혔다. 인도는 전기차 시장은 중국보다는 훨씬 뒤처져 있지만, 추격의 고삐를 바짝 쥐고 있다. 지난달 인도의 피유시 고얄 에너지 장관은 “2030년에는 인도 내에서 판매되는 모든 차가 전기차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도가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는 조짐은 있었다. 2015년 12월 파리협약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2022년까지 160기가와트(GW)의 풍력과 태양열을 추가 생산할 것이라고 밝혀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 현재 미국의 재생에너지 생산량은 100GW가 조금 넘는다. 1GW는 집에서 사용하는 LED 전구 1억 개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이다. 유럽 새기후연구소의 니클라스 혼네 에너지 전문가는 “인도의 목표는 야심차다”며 “현재 인도의 두 개 주에서는 100% 재생에너지를 쓰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인도의 경매에서는 태양열 개발자들이 태양전력을 판다고 나섰다. 태양전력은 kWh(키로와트 시간)당 2.44루피에 낙찰됐는데 이는 1년 전 입찰 된 가격보다 50% 낮아졌다. 동시에 화력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에너지의 평균 가격보다 약 24% 저렴하다.
중국과 인도가 재생에너지 투자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1차적으로 베이징과 뉴델리 같은 도시가 극심한 대기 오염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두 도시는 공기 질로 세계 최하위를 다툰다. 이 같은 단순한 이유에 더해 재생에너지 투자는 전체 경제를 견인하기 때문이라고 NYT는 분석했다. 내셔널지오그래픽에 따르면 인도는 7억7000만 개의 가로등을 LED로 교체한다고 밝혔는데 이를 실행하면 더 많은 화력발전소를 건설할 필요가 없어 연간 70억 달러를 절약할 수 있다. 또 매년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매년 약 8000t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