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정부의 일자리 정책 공감”… 물밑에선 “SOS” 신경전

입력 2017-06-13 10: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오른쪽)이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박주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과 만나 악수를 하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오른쪽)이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박주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과 만나 악수를 하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재계가 정부의 일자리 창출 노력에 대해 공감한다는 뜻을 밝혔다. 다만 물밑에선 정치권의 도움을 요청하는 등 신경전을 벌이는 모양새다.

재계는 지난 12일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 시정연설에서 좋은 일자리 만들기가 가장 시급하다고 밝힌 데 대해 “공감하며 일자리 창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화답했다. 경영자총협회는 공식 논평을 통해 “경영계는 일자리 문제가 우리 경제의 가장 시급한 과제라는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에 대해 공감한다”고 밝혔다. 경총은 이어 “경영계도 경제주체로서 소임을 다해 경제위기 극복과 일자리 창출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도 “문 대통령이 이번 시정연설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 온 힘을 다할 것을 밝히고 국회의 협조를 구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주요 경제단체들이 정부 일자리 창출 노력에 공감한다고 밝혔지만, 재계 일각에선 우려의 시선도 나온다. 정부 주도의 일자리 창출이 결국 대기업 부담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기업 규제를 풀어주고 경제 전체의 파이를 키우는 정책이 따라 나오지 않으면 대기업만 힘들어질 수 있다”고 토로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의 권태신 상근부회장은 시정연설 내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신산업 육성과 규제개혁 등 민간 고용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정책도 마련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날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도 국회를 찾아 불확실성으로 경제계가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며 정치권의 도움을 요청했다. 박용만 회장은 국민의당 박주선 비대위원장을 만나 “잘 아시겠지만, 작년 9월 이후 격랑을 겪으면서 경제인 입장에서 사실 불확실성의 시간이 너무 오래가고 있다”며 “경제계가 대안을 만들기 위해 공부하고 있으니 많이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박 위원장은 “(기업이) 개혁 앞에 굉장히 불안할 수 있지만 다 같이 노력해 국민이 바라는 방향으로 고칠 건 고치고 바꿀 건 바꾸는 모습 보여주면 무리한 법적 절차나 정당성을 훼손하는 방법으로는 (개혁)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 감성 못 잃어"…젠지 선택받은 브랜드들의 정체 [솔드아웃]
  • 알고리즘 정복…칠 가이(Chill guy) 밈 활용법 [해시태그]
  • GDㆍ준수도 탐낸 '차들의 연예인' 사이버트럭을 둘러싼 '말·말·말' [셀럽의카]
  • [종합] 삼성전자 4분기 영업이익 '6.5조'…반도체는 '2.9조' 그쳐
  • 비트코인, 파월 의장ㆍ라가르드 총재 엇갈린 발언 속 상승세 [Bit코인]
  • 겨울의 왕자 '방어'…우리가 비싸도 자주 찾는 이유[레저로그인]
  • 연휴 가고 다가온 2월...날씨 전망은
  • 생존자는 없었다…미국 워싱턴 여객기-헬기 사고 현장 모습
  • 오늘의 상승종목

  • 01.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6,634,000
    • -1.02%
    • 이더리움
    • 5,042,000
    • +3.05%
    • 비트코인 캐시
    • 655,500
    • +0.54%
    • 리플
    • 4,654
    • -0.49%
    • 솔라나
    • 354,900
    • -1%
    • 에이다
    • 1,447
    • +1.54%
    • 이오스
    • 1,222
    • +6.82%
    • 트론
    • 391
    • +2.36%
    • 스텔라루멘
    • 635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75,950
    • +2.64%
    • 체인링크
    • 38,940
    • +5.87%
    • 샌드박스
    • 809
    • +2.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