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 “올해 성장률 3.1%… 2018년 2.8%”

입력 2017-12-10 12: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을 각각 0.4%포인트, 0.3%포인트 상향했다. 가계 고용 안정과 소득 증대와 함께 가계부채 구조조정에 따른 소비위축에 대비해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0일 ‘2018년 한국 경제 수정 전망’을 발표하고 올해 성장률 연 3.1%, 내년 연 2.8%로 이같이 제시했다.

앞서 연구원은 지난 10월 초 올해 성장률을 2.7%로, 내년은 2.5%로 전망한 바 있다.

성장률 상향의 배경으로는 견고한 세계 경기 회복세가 꼽힌다. 국제통화기금(IMF)은 10월 내년 세계 경제 전망을 3.7%로 3개월 전보다 0.1%포인트 상향했다. 아울러, 한중 관계가 개선되며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문제도 점차 해소되고 있다는 점도 반영됐다.

연구원은 민간소비가 올해 2.3% 증가에서 내년 2.5% 증가까지 개선된다고 내다봤다.

소비심리 개선, 정부 일자리 중심 정책 기조가 주효하게 작용했다. 다만 가계부채 부담이 여전하고 부동산 경기가 냉각해 주택 등을 중심으로 자산가격이 내려가면 오히려 소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건설투자(올해 6.8%→내년 1.0%), 설비투자(올해 13.8%→내년 4.6%)는 올해보다 둔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연구원은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올해보다 줄어들어 신규 건설사업이 부진할 수 있다고 전했다. 설비 증설도 정보기술(IT) 산업에 집중하고 제조업 전반으로 확산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과 수입 증가율의 경우, 기저효과 때문에 올해만큼 증가하진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수출 증가율은 15.7%에서 6.2%로 꺾일 것으로 전망했다.

고용 상황은 올해와 비슷하다는 전망이다. 연구원은 실업률이 올해와 내년 모두 3.8%로 예상했다.

연구원은 “재정 확대와 긴축의 상반된 정책 기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면서 “소득 주도 성장의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는 만큼 안전 장치로 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며 “건설 경기 경착륙을 방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써보니] ‘도널드 트럼프’ 묻자 그록3·딥시크가 한 답변은?
  • 이지아, '친일파 논란' 조부 과오 사과…김순흥은 누구?
  • 제니→육준서 '어리둥절'…그놈의 '중안부'가 뭐길래 [솔드아웃]
  • 백종원, '빽햄 파동' 이겨낼까…등 돌린 여론 뒤집을 비장의 수는? [이슈크래커]
  • "용왕이 점지한 사람만"…전설의 심해어 '돗돔'을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비트코인, 금리 인하 가능성에 깜짝 상승…9만8000달러 터치 [Bit코인]
  • 안전자산에 '뭉칫돈'…요구불예금 회전율 5년 만에 최고
  • 그래미상 싹쓸이한 켄드릭 라마…'외힙 원탑'의 클래식카 컬렉션 [셀럽의카]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898,000
    • +0.79%
    • 이더리움
    • 4,159,000
    • +1.64%
    • 비트코인 캐시
    • 488,400
    • +1.67%
    • 리플
    • 3,961
    • -1.91%
    • 솔라나
    • 263,700
    • +1.38%
    • 에이다
    • 1,196
    • +1.79%
    • 이오스
    • 973
    • +1.14%
    • 트론
    • 363
    • +1.68%
    • 스텔라루멘
    • 507
    • -0.9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600
    • +1.5%
    • 체인링크
    • 27,890
    • +2.99%
    • 샌드박스
    • 574
    • +4.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