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데이 말투데이] 후안무치(厚顔無恥)/도덕적 해이(道德的 解弛)

입력 2018-12-05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조성권 국민대 객원교수

☆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 명언

“내 머리는 자를 수 있어도 머리카락은 자를 수 없다.”

1893년 단발령(斷髮令)에 맞서 “신체발부 수지부모 불감훼상(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사람의 신체와 터럭과 살갗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손상시키지 않아야 한다)”이라며 그가 한 말. 치열한 저항정신, 목숨을 건 구국의 실천을 보여준 조선 후기의 애국지사. 흥선대원군의 실정(失政)을 상소하여 관직을 삭탈당했다. 74세 고령에도 의병을 일으켰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투옥돼 대마도 옥사에서 순국했다. 오늘은 그가 태어난 날. 1833~1907.

☆ 고사성어/후안무치(厚顔無恥)

낯이 두꺼워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뜻. 치(恥)는 ‘남의 비난을 들으면 마음이 움직인다’는 뜻에서 ‘부끄러워하다’는 글자가 되었다. 안하무인(眼下無人), 방약무인(傍若無人)은 유의어.

☆ 시사상식/도덕적 해이(道德的 解弛, moral hazard)

감추어진 행동이 문제가 되는 상황에서, 정보를 가진 측은 정보를 가지지 못한 측에서 보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취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행동이 나타났을 때 도덕적 해이가 일어났다고 말한다.

그와 같은 행동을 하는 대리인을 도덕적으로 비난하는 것은 아니다. 본인의 이익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는, 명시적이거나 암시적인 약속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행동이 나왔다는 뜻에서 이 표현을 썼다.

☆ 한자가 변한 순우리말/나중에

한자어 ‘내종(乃從, 다른 일을 먼저 한 뒤의 차례)’에 접미사 ‘에’가 붙어 변한 말.

☆ 유머/선생님도 모르는 산수

선생님이 초등학생 아이에게 쉬운 문제를 냈다. “네가 천 원을 가지고 있는데 아빠한테 천 원을 달라 하면, 너는 얼마를 갖게 되지?”

아이가 바로 “천 원이요”라고 답하자 선생님은 한심하다는 듯 “넌 산수를 정말 못하는구나”라고 했다.

아이의 반격. “선생님은 우리 아빠를 모르시는군요.”

채집/정리: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삶연구소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이베이, 3월부터 K셀러에 반품·환불비 지원 ‘리퍼제도’ 시행
  • 공차, 흑당에 대만 디저트 ‘또우화’ 퐁당…“달콤·부드러움 2배” [맛보니]
  • [유하영의 금융TMI] 가계대출 관리, 양보다 질이 중요한 이유는?
  • 대통령실·與 “탄핵 집회 尹부부 딥페이크 영상...법적대응”
  • “성찰의 시간 가졌다”...한동훈, ‘별의 순간’ 올까
  • 매력 잃어가는 ‘M7’…올해 상승률 1% 그쳐
  • '나는 솔로' 11기 영철, 특별한 인증 사진 '눈길'…"文과 무슨 사이?"
  • 떠난 하늘이와 우려의 목소리…우울증은 죄가 없다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2.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346,000
    • -0.66%
    • 이더리움
    • 4,037,000
    • -0.98%
    • 비트코인 캐시
    • 494,500
    • -2.18%
    • 리플
    • 4,089
    • -2.11%
    • 솔라나
    • 284,000
    • -3.37%
    • 에이다
    • 1,161
    • -2.52%
    • 이오스
    • 950
    • -3.75%
    • 트론
    • 366
    • +2.52%
    • 스텔라루멘
    • 520
    • -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300
    • +0.17%
    • 체인링크
    • 28,300
    • -1.46%
    • 샌드박스
    • 592
    • -1.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