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데이 말투데이] 빙호추월(氷壺秋月)/무인경제(無人經濟)

입력 2019-01-03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조성권 국민대 객원교수

☆ 퇴계(退溪) 이황(李滉) 명언

“마음이란 붙잡기 힘들어 한 걸음 움직일 때마다 움직인다.”

조선 중기 선비. 성리학을 체계화해 ‘동방의 주자’라 불린다. 도산 서당을 세워 제자를 길러 내는 데 힘써 영남학파를 이루었다. 기호학파의 율곡(栗谷) 이이(李珥)와 함께 조선의 대학자로서 쌍벽을 이루었으며, 사람을 차별하지 않는 인의(仁義)사상을 실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양력으로 생몰일(生沒日)이 같은 그는 오늘 별세했다. 1502~1571.

☆ 고사성어 / 빙호추월(氷壺秋月)

결백을 비유하는 옥항아리에 담긴 얼음과 가을날의 밝은 달이란 뜻으로 청렴결백한 마음을 비유한다. 고결한 선비를 표현하는 말이다. 송(宋)나라 학자 주송(朱松)이 주희(朱熹)의 스승인 연평(延平) 이동(李동)의 인품을 기리며 “선생은 빙호추월과 같아서 한 점 티가 없이 맑게 비치니, 우리들이 따라갈 수가 없다”고 한 고사에서 나왔다. 원전은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 조선시대 허균(許筠)도 “간과 쓸개를 매번 서로 비추고, 얼음 항아리를 찬 달이 내려 비추네”[肝膽每相照 氷壺映寒月]라는 시구를 남겼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014년 서울대 연설에서 한·중 우의를 빗대며 인용했다.

☆ 시사상식 / 무인경제(無人經濟)

AI(인공지능), loT(사물인터넷), 로봇 등이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하여 제조업이나 서비스업 등에 차용되는 경제활동을 말한다.

☆ 한자가 변한 순우리말 / 으레

‘두말할 것 없이 당연히, 틀림없이 언제나’란 뜻. 이 말은 ‘예를 좇는 것이 마땅하다’는 뜻인 의례(宜例)가 변한 말이다.

☆ 유머 / 집 경치는 남의 것

한강을 조망하는 집이 나왔다고 해서 27층 아파트를 보러 갔다. 거실에 들어서자 잠실 쪽 한강이 그림처럼 펼쳐져 나도 모르게 “와아! 강이다”고 외쳤다.

안주인이 나오면서 물었다.

“강이 어디 있어요?”

채집/정리: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삶연구소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큰손’ 국민연금 美주식 바구니 'M7' 팔고 '팔란티어' 담았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법인 가상자산 진출 '코인마켓'에 기회 …은행 진출 '마중물'
  • 故 김새론 비보에 애도 물결…"작품 속 딸로 만나 행복했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11:0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473,000
    • -1.14%
    • 이더리움
    • 4,039,000
    • -0.79%
    • 비트코인 캐시
    • 497,500
    • -1.09%
    • 리플
    • 4,157
    • -1.14%
    • 솔라나
    • 285,100
    • -2.9%
    • 에이다
    • 1,199
    • +1.96%
    • 이오스
    • 965
    • -0.72%
    • 트론
    • 362
    • +1.12%
    • 스텔라루멘
    • 524
    • -0.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100
    • +0.92%
    • 체인링크
    • 28,470
    • -0.11%
    • 샌드박스
    • 601
    • +0.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