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정부 부처 등에 따르면 기재부는 통상 매년 2월 초 대규모 과장급 인사를 한다. 올해도 비슷한 시기에 과장급 인사가 예정돼 있다. 특히 올해 인사는 기재부 내 임시조직이었던 혁신성장본부가 상시조직으로 전환되고 기재부에 3개 과가 추가 신설될 예정이라 인사 폭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연초부터 과장급 공무원들 사이에선 핵심 보직을 차지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권력의 정점인 청와대 행정관으로 가려는 공무원들의 경쟁이 가장 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경쟁이 긍정적인 방향이 아니라 진흙탕식 싸움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게 문제점이다.
최근 기재부 A 과장은 특정 지역 출신을 앞세워 청와대 행정관에 입성할 예정이라는 소문이 파다하다. 청와대에 있는 같은 지역 선배가 힘을 써줬다는 것이다. 또 다른 청와대 행정관 자리도 모 과장이 청와대 핵심 인사들에게 대학과 출신 지역 등을 활용해 인사 로비를 했다는 얘기도 나돈다. 과장급뿐 아니라 국장급 인사도 마찬가지다. 서로 1급 승진에 유리한 위치로 가기 위해 보이지 않는 경쟁이 치열하다.
기재부는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에서는 이른바 TK(대구·경북) 출신들이 인사 때마다 특혜를 받았고 문재인 정부에서는 호남 인사들이 특혜를 받고 있다는 얘기가 공공연하다. 일각에서는 근무실적 평가라는 얘기는 의례적일 뿐 연줄대기가 횡행해 결국 힘 없는 과장들만 한직으로 밀려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는 전언이다.
경제수석부처인 기재부지만 꿀보직은 따로 있고, 고생만 하고 제대로 인정도 받지 못하는 자리가 있는 게 엄연한 현실이다. 한직은 서로 피하려 하기에 가장 힘없는 공무원이 맡는다는 것이다. 인사 청탁으로 좋은 자리에 가면 또 다른 청탁을 거절하기 힘들다.
결국 인사 적폐의 폐해는 고스란히 국민의 몫이다. 타 부처 서기관급 공무원 B 씨는 “기재부는 행정고시 동기들이 많지만 자리가 한정적이다 보니 인맥을 이용한 경쟁이 치열하다”며 “빽 없고 힘없는 공무원들은 이런 상황이 싫어서 타 부처로 전출 가거나 관심이 적은 부서에서 조용히 지내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