엎어도 엎어도 꿈쩍 않는 채솟값…평년 대비 배추 52%ㆍ무 26%↓

입력 2019-03-03 13: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농식품부 소비 촉진 나선다

▲9일 오후 전남 영암군 신북면 모산리 한 배추농가에서 시장격리조치된 가을배추가 산지폐기되고 있다.(연합뉴스)
▲9일 오후 전남 영암군 신북면 모산리 한 배추농가에서 시장격리조치된 가을배추가 산지폐기되고 있다.(연합뉴스)
풍작에 소비 침체가 겹치면서 겨울 채소 가격이 뚝 떨어졌다. 정부가 산지 폐기 등 가격 끌어올리기에 나섰지만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3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 1~2월 배추 한 포기 도매가격은 939원이다. 평년 가격의 절반도 안 되는 값이다. 무(1개 790원)와 대파(1㎏ 1184원) 등 다른 겨울 채소도 각각 평년 가격의 74%, 68%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렇게 채소 가격이 내려간 것은 예년 겨울보다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수확이 늘어난 탓이 크다. 농식품부는 올겨울 월동배추와 월동무 수확량을 각각 34만9000톤, 33만1000톤으로 추산했다. 지난 겨울 수확량보다 각각 22%, 13% 늘어난 양이다. 여기에 식습관 변화 등으로 김장 등에 쓰이는 채소 소비량도 예전보다 줄어들었다.

농식품부와 농협 등은 채솟값을 잡기 위해 배추 7만1000톤과 무 4만8000톤 등을 시장에서 격리했지만 그 효과는 크지 않다. 특히 배추는 5만6000톤을 밭에서 갈아엎었는데도 가격이 오히려 내려갔다.

이에 농식품부는 소비 진작 활동을 통해 지속해서 수급 안정을 추진키로 했다. 학교와 공공기관 등 단체 급식 기관을 중심으로 소비를 촉진하고 대형마트, 홈쇼핑 등으로 판로도 넓혀가기로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소비촉진 대책으로 월동채소 가격을 조기에 안정시켜 나가는 한편 시장·산지 동향을 수시로 점검해 향후 수급여건 변동에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200,000
    • +2.84%
    • 이더리움
    • 2,805,000
    • +5.06%
    • 비트코인 캐시
    • 467,300
    • +6.59%
    • 리플
    • 3,260
    • +6.61%
    • 솔라나
    • 192,600
    • +3.49%
    • 에이다
    • 1,015
    • +6.73%
    • 이오스
    • 1,006
    • +12.65%
    • 트론
    • 349
    • +1.16%
    • 스텔라루멘
    • 408
    • +5.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580
    • +5.04%
    • 체인링크
    • 20,890
    • +6.85%
    • 샌드박스
    • 415
    • +4.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