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이 9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고용노동부에서 취업취약계층의 취업을 지원하는 '국민취업지원제도' 추진을 위한 '구직자 취업촉진 및 생활안정지원 법률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연합뉴스)](https://img.etoday.co.kr/pto_db/2019/09/20190910100910_1364901_1000_662.jpg)
고용보험 사각지대에 있는 취업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취업촉진과 생활안정을 지원하는 '국민취업지원제도'가 내년 7월부터 시행된다. 월 50만 원씩 최장 6개월 동안 지급되는 구직촉진수당은 만 18∼64세 구직자 가운데 가구소득이 중위소득의 50% 이하면 받을 수 있다. 대상에 전역예정 장병과 북한이탈주민, 한부모가정도 포함된다.
고용노동부는 10일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구직자 취업 촉진 및 생활 안정 지원에 관한 법률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그동안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논의를 거쳐 한국형 실업부조 등 고용안전망 강화에 대한 노ㆍ사ㆍ정 합의를 도출했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 6월 '국민취업지원제도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최저 생계 보장을 위한 '구직촉진수당'과 맞춤형으로 구직 활동을 지원하는 '취업 지원 서비스'로 나뉜다.
관련 뉴스
구직촉진수당을 받으려면 만 18∼64세,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재산 6억 원 이하 등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소득기준은 중위소득 60% 이하로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만 18∼34세 청년의 경우 소득이 중위소득 120% 이하면 된다.
구직촉진수당 수급자는 고용센터에서 상담을 거쳐 작성한 취업활동계획서에 따라 구직활동을 해야 할 의무가 발생한다.
수급자가 구직활동 의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으면 수당 지급을 중단한다. 부정수급이 적발될 경우 수당 지급 중단뿐 아니라 환수와 형사 처벌도 할 수 있다.
취업 지원 서비스는 취업활동계획서를 토대로 직업훈련, 일 경험 프로그램, 일자리 소개, 이력서 작성 지원, 복지·금융 지원 연계 등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한다. 취업 지원 서비스는 만 18∼64세와 중위소득 100% 이하 요건을 충족하면 신청할 수 있다. 청년의 경우 중위소득 120% 이하면 된다.
고용부는 입법예고 기간 수렴한 의견을 반영해 전역예정 장병, 북한이탈주민 등도 취업취약계층에 포함시켜 국민취업지원제도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당장 구직활동이 어려운 전역을 한달 앞둔 장병도 이 제도에 참여할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 한부모 가정, 위기 청소년 등은 소득 요건을 충족하지 않더라도 취업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생계급여 수급자도 취업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은 "자영업자, 프리랜서, 플랫폼노동자등 취업자 중 45%는 고용보험제도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2022년 국민취업지원제도가 완성되면 연간 235만 명 이상의 취업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중층적 고용안전망이 구축된다"고 밝혔다. 이어 임 차관은 "국민취업지원제도를 도입해 취업률은 약 17%포인트(P) 증가하고 빈곤갭은 2.4%P 감소할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내년 7월 1일 국민취업지원제도 시행을 위해 이날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법률 제정안과 관련 예산이 정기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가 편성한 국민취업지원제도 관련 2020년 예산과 지원규모는 각각 5281억 원, 35만 명이다. 정부는 지원규모를 2021년 50만 명, 2022년 60만 명으로 확대해 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