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집값이 투명해지는 길

입력 2019-12-17 0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결혼 5년 만에 내 집 마련을 한 지인은 이사를 간 첫 날 부녀회장으로부터 집을 내놓을 때 '가격을 잘 맞춰' 내놓으라는 첫 인사를 가장한 경고를 듣는다. 취재 중 매물은 없는데 호가는 오르니 정상적인 흐름은 아니라는 강남 대치동 중개업소 관계자의 말도 들린다. 집값이 치솟으니 호가 띄우기와 가격 담합이 이곳저곳에서 또다시 기승을 부린다.

자본주의에서 내 재산을 지키는 건 집주인의 기본 심리이자 권리다. 그러나 정도를 넘어서면 그건 시장 교란 행위가 된다. 특히 단체 채팅방이나 인터넷, 엘리베이터 등에서 가격을 특정하고 그 밑으로 팔지 못하게 막아 누군가가 뻥튀기 가격에 집을 사게 만든다면 내년부터는 처벌 대상이 된다. 싼 매물을 내놓은 중개업소에 항의해 물건을 내리게 하거나 블랙리스트를 만드는 행위, 원하는 호가대로 거래해 주는 중개소를 공유하는 행위 등도 모두 처벌 대상이다. 집값 지키려다 징역이나 수천만원의 벌금을 맞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법적 채찍이 아닌 끈끈한 담합이나 호가 띄우기를 아예 불가능하게 하는 방법은 없을까.

현 정부는 집값 급등 배경에 강남 재건축 단지가 있다고 봤다.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 분양가 상한제 등의 규제가 나온 것도 이런 이유다.

문제는 서울 주택 공급의 유일한 공급원이 재건축ㆍ재개발이라는 점이다. 규제가 도처에 깔리니 사업이 막히고, 공급이 부족할 것이라는 우려에 너도나도 집 사기에 나선다. 매물이 없으니 부르는 게 값이 되고, 공급이 줄어든다니 조바심에 수요자들은 추격 매수에 나선다.

결국 뻥튀기 가격은 그대로 실거래가가 된다. 뒤이은 매물에는 살이 더 붙어 호가는 또 뛴다. 당장 주택이 필요 없는 미래 수요까지 내 집 사기에 뛰어든다. 정부 스스로 집은 '사는 곳'이 아닌 '사는 것'으로 만들어버렸다.

정부의 규제 일변도 정책을 모두 부정하진 않는다. 만시지탄일지 모르지만 공급만은 늘려 집값 급등의 가장 강력한 불안 요인을 이제라도 제거하는 건 어떨까. 살 집이 많아지면 호가 띄우기도 담합도 먹히지 않을 것이다. 집값이 얼마나 투명하느냐는 아무래도 정부 손에 달린 것 같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210,000
    • +2.35%
    • 이더리움
    • 2,830,000
    • +3.55%
    • 비트코인 캐시
    • 459,700
    • +1.57%
    • 리플
    • 3,177
    • +1.4%
    • 솔라나
    • 188,300
    • +0.59%
    • 에이다
    • 1,006
    • +2.65%
    • 이오스
    • 1,012
    • +9.29%
    • 트론
    • 353
    • -0.84%
    • 스텔라루멘
    • 406
    • +2.2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800
    • +1.31%
    • 체인링크
    • 21,040
    • +3.9%
    • 샌드박스
    • 409
    • +0.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