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20/11/20201117093829_1540907_540_252.jpg)
과거에는 4년제 대학은 취업의 필수요건으로 여겨져 왔으나 최근에는 자신의 적성을 살려 취업을 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증가하면서 취업에 유리한 기술을 쌓고자 전문대학에 입학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교육업계 역시 실무교육부터 취업연계까지 이어지는 맞춤형 교육 커리큘럼을 선보이며 주목받고 있는데, LINC+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대학은 전문대학과 기업이 교육 과정을 공동 운영함으로써 맞춤형 인재를 양성해 기업의 채용과 곧바로 연계되기 때문에 학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LINC+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대학은 교육 수요자인 기업이 실제 필요로 하는 지식을 전달하는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에 따라 대학과 기업은 공동으로 실무에 적합한 직무 분야 및 교육 과정을 개발•운영하여 채용 연계성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다.
관계자는 “수능 성적에 맞춰 자신의 관심과 무관한 4년제 대학에 진학했던 것은 예전 일”이라면서, “자기 자신을 잘 파악하고 적성에 맞는 진로를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회맞춤형학과는 졸업하기 전부터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업까지 연계될 수 있으니 구체적으로 검토해보길 권한다”라고 전했다.
과는 건축∙토목, 경영∙행정, 교육∙복지, 기계∙자동차, 미용∙패션, 방송∙디자인, 세무∙회계, 신기술, 외식∙요리, 의료∙보건, 전기∙전자, 정보∙통신, 컴퓨터, 호텔∙관광, 화학∙자연 등 총 15개 분야의 전국 44개의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대학이 있으며, 실무에 적합한 맞춤형 교육을 통해 약 3,500개의 협약기업에 채용을 연계하는 교육과정을 지원하고 있다.
그중 신기술, 기계∙자동차, 전기∙전자, 정보∙통신 관련 산업의 경우, 4차 산업혁명으로 기술이나 산업 변화주기가 짧아져 4년 동안 직업을 갖기 위해 공부하는 것은 4년 뒤 사라질 직업을 위해 학습하는 것 일수도 있다. 이는 2년간의 전문화된 직업교육으로 변화에 대응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 4차 산업 관련한 인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늘어나고 있어 전반적인 교육 수준이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한편 LINC+(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 전문대학 육성사업으로, LINC+ 사회맞춤형 학과와 커리큘럼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수험생들은 수시 2차 기간과 정시 기간에 지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