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게임산업진흥계획에 업계 "글쎄?"

입력 2008-12-05 18: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대 게임강국 진입 목표..."예산 어떻게 집행하느냐"가 관건

정부가 게임산업 육성을 위해 향후 5년간 35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지만 업계는 우려 반 기대반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정부는 3대 게임강국에 진입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게임산업진흥 중장기계획을 발표했다.

정부 예산 2500억원과 나머지 민간 자본, 지방자치단체, 기금 등이 동원된 1000억원을 합쳐 35000억원을 투입하겠다는 것.

게임업계는 일단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자칫하면 비효율적인 집행으로 예산낭비를 초래하지 않을지 우려감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3500억원이란 금액을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관건이라고 업계는 입을 모은다.

한 게임업체 관계자는 "수 백개의 중소 게임업체가 겪고 있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며 "퍼블리싱을 계약하거나 수출 박람회에 나갈 경우 수 천만원의 비용이 드는데 자금난 때문에 빛도 못보고 게임이 사장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재정이 열악한 신생 개발사와 중소 개발사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특히 신경써야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각 업체에 지원금을 줄 때는 엄격한 선정과정을 거쳐, 무분별한 예산 지원을 막아야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게임산업 발전을 위해서 업계 스스로의 노력도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한 관계자는 "게임중독 등으로 게임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형성돼 있는 게 사실"이라며 "게임을 오락 위주의 놀이가 아닌, 경쟁력 있는 '문화콘텐츠'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그동안 문제조 지적됐던 부분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예를 들어 게임중독이나 무제한적인 게임을 차단하기 위해 일부 MMO RPG(다중접속게임) 게임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레벨업이 되지 않도록 장치를 마련해 놓는다"고 덧붙였다.

한편 올해 게임산업 수출액은 10억달러를 돌파했다.

게임진흥산업원은 최근 올해 게임산업 수출액이 약 10억6000만달러를 달성, 지난해 7억8000만달러보다 35%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당초 2010년까지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던 목표를 2년이나 조기 달성한 것이다.

이에 정부는 오는 2012년 게임산업 수출 목표액을 36억달러로 상향조정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법사ㆍ○○아씨 넘쳐나는데…요즘 '무당집', 왜 예약이 힘들까? [이슈크래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TV만 틀면 나온다"… '다작의 아이콘' 전현무가 사는 '아이파크 삼성'은 [왁자집껄]
  • 단독 “판사 여기 숨어 있을 거 같은데”…‘서부지법 사태’ 공소장 보니
  • '국가대표' 꾸려 AI 모델 개발 추진…"중·소·대기업 상관없이 공모" [종합]
  • 트럼프, 관세 시간표 앞당기고 목재도 추가…“전략비축유 빨리 채울 것”
  • 국정 1·2인자 대면 무산…韓 “국무회의, 흠결 있지만 판단은 사법부가 해야”
  • 창업 도전 해볼까…카페 가맹점 평균매출액 1위는?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055,000
    • +0.12%
    • 이더리움
    • 4,052,000
    • -0.66%
    • 비트코인 캐시
    • 477,600
    • -0.62%
    • 리플
    • 3,996
    • +3.74%
    • 솔라나
    • 255,900
    • -0.04%
    • 에이다
    • 1,166
    • +1.48%
    • 이오스
    • 949
    • +1.93%
    • 트론
    • 356
    • -2.2%
    • 스텔라루멘
    • 508
    • +2.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550
    • -1.22%
    • 체인링크
    • 26,640
    • -1.44%
    • 샌드박스
    • 544
    • -0.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