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올해 디지털화, 저탄소 전환 등 시대적 흐름과 요구에 맞게 농업 구조를 바꾸고 농촌을 한국판 뉴딜의 핵심 공간으로 재생시키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아울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중요성이 더 커진 식량안보의 기반을 구축하고,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등 동물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방역체계는 제도화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 농식품부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28일 발표했다.
먼저 정부는 농업·농촌이 기후변화 대응에 앞장서도록 여건을 만들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제2차 농업·농촌 분야 기후변화 대응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흡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목표와 과제를 제시할 예정이다.
축산에서는 축산 분뇨의 에너지화와 정화 처리를 확대하고, 저메탄 사료를 개발·보급해 가스 배출량을 줄인다. 벼농사는 온실가스 저감 농법을 개발해 보급하고 우수 농가에 인센티브를 줄 계획이다.
이에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은 이날 2015년부터 지역민을 중심으로 에너지자립마을을 조성해온 충남 홍성 원천마을을 찾아 간담회를 열었다. 김 장관은 "올해는 탄소중립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첫발을 내딛는 해로 원천마을이 농촌 재생에너지 순환 마을의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다"며 "농업 분야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하기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농식품부는 주요 농업 시설의 'RE100'(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캠페인)을 포함한 '농업·농촌 에너지 전환 계획'을 연말까지 수립할 계획이다.
아울러 식량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우량농지를 확보하고 주요 곡물의 자급기반을 확충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농지 원부 정비를 연내 마무리하고, 수입 비중은 큰 밀·콩 등은 소비와 비축량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유통환경 변화에 대응해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을 재정립하기 위한 '도매시장 유통구조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가축 질병은 법령 개정을 통해 고위험 지역에 축사가 들어서는 것을 제한하고 시설 기준을 강화해 발생을 미리 차단한다. AI 중점방역관리지구로 지정된 지역은 농가에 강화된 방역시설을 의무화하고 가금사육업 신규 허가를 금지한다.
올해 완공되는 전국 4곳의 스마트팜 혁신밸리에서는 전문 인력과 청년농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생산성 향상 기술, 인공지능 기반 무인·자동화 기술 등 스마트팜 관련 연구개발(R&D)을 추진한다.
김 장관은 "농업의 구조 전환은 재배방식부터 비료 등 투입재까지 농업 전반의 변화를 수반하고 농산물 유통·소비 변화도 뒷받침돼야 한다"며 "농업인과 국민이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해달라"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