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 노무라, 바클레이 등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내년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5%에도 도달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성장률이 7%에 가까웠던 것을 고려하면 경제가 상당 폭 고꾸라지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경제성장을 위축시키는 여러 요인 가운데 부동산 시장을 핵심으로 꼽았다. 중국 공산당이 부동산 시장을 경기부양 수단으로 사용하지 말라고 한 공언을 체감하고 있다는 평가까지 나온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비대한 부동산 부문을 축소하고 첨단기술 제조 분야를 키우려는 의도로 부동산 시장 단속에 칼을 빼들었다. 그동안 중국 국내총생산(GDP)에서 부동산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5% 정도로 컸다.
중국 리서치업체 플레넘의 이코노미스트 첸 롱은 “시 주석이 부동산 시장이 지나치게 크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시 주석의 승인 없이 관련 규제 완화는 엄두도 내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관련 뉴스
코로나발 경제 타격에 부동산 시장 위축까지 지속될 경우 경제성장 전망은 더 비관적이다.
왕 타오 UBS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코로나 제로 정책이 길어지거나 부동산 침체가 깊어질 경우 내년 GDP 성장률이 4%까지 추락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세계 2위 경제대국 중국의 성장 침체는 글로벌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노무라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랍 서바라만은 “중국 경제성장률이 올해 7.1%에서 내년 4.3%까지 둔화할 수 있다”며 “세계 GDP 성장률도 0.5%포인트 감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