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값, 매물 적체·거래 위축으로 하락폭 더 커져

입력 2022-03-10 1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월 첫째 주 수도권 아파트값 -0.03% 하락

(사진제공=한국부동산원)
(사진제공=한국부동산원)

매물이 쌓이고 급매 위주의 거래가 이어지며 수도권 전체 아파트값이 지난주보다 더 떨어졌다.

한국부동산원은 3월 첫째 주(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값 동향을 조사한 결과, 수도권 아파트값 하락률이 지난주보다 0.01%p 내린 –0.03%로 집계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주 수도권 아파트값은 서울이 내림세를 유지하고, 인천과 경기는 지난주보다 내림세가 더 짙어지며 하락 폭이 더 커졌다.

서울의 이번 주 아파트값은 0.02% 하락했다. 강북(-0.04%)은 매매시장 위축, 전세시장 약보합세 등의 영향으로 신규 입주단지 주변이나 대단지 등에서 매물이 누적돼 호가가 하락했다. 그 결과 성북(-0.07%), 강북(-0.05%)을 비롯한 14개 구 모든 지역에서 아파트값이 떨어졌다.

강남(-0.01%)의 경우 서초구는 일부 중대형 아파트 위주로 상승하며 보합을 기록했고, 강남구(-0.01%), 송파구(-0.01%), 강동구(-0.03%) 등은 매물이 쌓이고 급매 위주로 거래되며 내림세를 이어갔다.

부동산원 측은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매수세 및 거래활동 위축, 전세가격 하락 등 다양한 하방 요인으로 매수자 우위 시장 및 거래 위축세가 지속되며 지난해 급등했거나 매물 적체된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 조정이 이어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인천(0.00%→-0.02%), 경기(-0.02%→-0.04%)는 이번 주 아파트값 하락 폭이 더 커졌다. 인천은 연수구(-0.10%) 등 4개 구에서 매수세가 위축되고 매물이 쌓이며 호가가 조정돼 하락 전환했다. 경기의 경우 시흥시(-0.28%), 화성시(-0.15%), 안양 동안구(-0.12%) 등 지역에서 매물이 쌓이며 하락 거래가 발생해 경기 전체 하락 폭이 커졌다.

매맷값에 이어 전셋값도 내림세를 이어갔다. 수도권과 서울의 아파트 전셋값은 각각 –0.04%, -0.03%로 지난주의 하락 폭을 유지했다. 부동산원 측은 “금리인상에 따른 월세 전환 수요와 갱신계약 사용 등으로 전세 수요가 감소한 가운데 대체로 구축 위주로 호가가 내려가고 급매물 위주로 거래돼 내림세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상추에 배추·무까지…식품업계, 널뛰는 가격에 불확실성 고조 [식탁 지배하는 이상기후]
  • 단독 한달 된 '실손24' 60만 명 가입…앱 청구 고작 0.3% 불과
  • 도쿄돔 대참사…대만, 일본 꺾고 '프리미어12' 우승
  • "결혼 두고 이견" 정우성ㆍ문가비 보도, 묘한 입장차
  • ‘특허증서’ 빼곡한 글로벌 1위 BYD 본사…자사 배터리로 ‘가격 경쟁력’ 확보
  • [식물 방통위] 정쟁 속 수년째 멈춤…여야 합의제 부처의 한계
  • 이재명 오늘 '위증교사' 선고...'고의성' 여부 따라 사법리스크 최고조
  • 성장률 적신호 속 '추경 해프닝'…건전재정 기조 흔들?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700,000
    • -0.25%
    • 이더리움
    • 4,665,000
    • -1.42%
    • 비트코인 캐시
    • 712,500
    • +0.28%
    • 리플
    • 1,981
    • -3.27%
    • 솔라나
    • 351,000
    • -1.15%
    • 에이다
    • 1,418
    • -4.58%
    • 이오스
    • 1,175
    • +10.12%
    • 트론
    • 291
    • -1.36%
    • 스텔라루멘
    • 739
    • +2.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96,350
    • -1.08%
    • 체인링크
    • 24,970
    • +2.88%
    • 샌드박스
    • 1,076
    • +76.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