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컬리, 고물가에 2분기 도시락·샌드위치 판매량 1.6배 ‘쑥’

입력 2022-07-05 09: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문밖 도시락 5종 이미지(사진제공=컬리)
▲자문밖 도시락 5종 이미지(사진제공=컬리)

물가상승으로 이른바 ‘런치플레이션’ 부담이 커지면서 도시락이나 샌드위치 판매량이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마켓컬리에 따르면 지난 2분기(4~6월) 마켓컬리에서 판매된 컵도시락 판매량은 1분기 대비 1.6배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런치플레이션이란 런치와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치솟는 물가로 인해 점심값에 큰 부담을 느끼는 현상을 말하는 신조어다.

마켓컬리에서 판매량이 가장 높았던 ‘오쿡 컵도시락’은 한 개에 4000원이 넘지 않아 합리적인 점심 식사가 가능하다. 컬리온리 상품인 ‘탄단지 가벼운 한식 도시락’ 역시 국내산 쌀에 고기, 다양한 나물을 4000원대에 즐길 수 있어 인기다.

같은 기간 전자레인지 조리로 번거로움을 줄인 덮밥과 김밥 판매량도 각각 1.4배, 1.3배로 늘었다. 마켓컬리는 급격한 물가 인상으로 점심 밥값이 기본 1만 원을 넘어가자 식비를 아끼기 위해 간편하게 먹을 수 있으면서도 가성비가 높은 제품들의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샌드위치나 베이커리 제품군도 인기를 끌었다. 직장인들이 점심 한끼 식사 대용으로 많이 찾는 샌드위치 판매량은 1.4배 상승했고, 든든한 포만감을 느낄 수 있는 핫도그 판매량은 무려 4배나 늘었다. 이밖에 소금빵, 단팥빵, 파운드 등 낱개로 포장돼 있어 휴대가 용이한 각종 빵류도 고객이 많이 찾는 제품으로 꼽혔다. 이에 마켓컬리는 머핀, 스콘, 베이글 등 다양한 소포장 베이커리 제품들을 추가 입점시키고 있다.

끼니를 대신할 수 있는 그래놀라 바, 단백질 바 등 에너지 바 판매량도 1.4배로 증가했으며, 매일 한 봉지씩 먹는 견과류 제품은 1.7배로 늘었다. 쉽고 간편한 섭취에 적당한 포만감까지 느낄 수 있어 인기를 끌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밖에 점심 도시락을 쌀 때 자주 등장하는 방울토마토와 바나나 판매량 역시 늘어났다.

이효선 마켓컬리 가정간편식 MD는 “외식 물가 상승으로 도시락 등 간편한 가성비 한끼 제품을 찾는 고객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며 “마켓컬리는 이러한 상황에 맞춰 약 12개월까지 장기간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촉촉한 밥의 식감이 살아 있는 냉동 김밥을 추가로 출시하는 등 관련 신상품을 확대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302,000
    • -1.96%
    • 이더리움
    • 2,736,000
    • -3.87%
    • 비트코인 캐시
    • 444,200
    • -3.69%
    • 리플
    • 3,048
    • -4.48%
    • 솔라나
    • 181,700
    • -3.4%
    • 에이다
    • 981
    • -3.06%
    • 이오스
    • 1,207
    • +18.68%
    • 트론
    • 351
    • -0.28%
    • 스텔라루멘
    • 389
    • -4.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320
    • -3.36%
    • 체인링크
    • 19,720
    • -6.36%
    • 샌드박스
    • 392
    • -4.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