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찰풍선은 명백한 미국 주권과 국제법 위반"
미ㆍ중 긴장 다시 고조되나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텔아비브 공항에 도착해 연설하고 있다. 텔아비브(이스라엘)/AP연합뉴스](https://img.etoday.co.kr/pto_db/2023/01/20230131152628_1847055_500_334.jpg)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이 중국 정찰풍선을 이유로 중국 방문 당일인 3일(현지시간) 방중을 무기한 연기했다.
이에 최근 의사소통을 강화하던 미국과 중국 관계가 다시 악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날 CNBC방송에 따르면 국무부 대변인실은 “블링컨 장관은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과 통화해 미국 본토 상공서 포착된 중국 고고도 정찰풍선을 고려해 지금으로선 중국을 방문할 수 없다는 뜻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어 “블링컨 장관은 정찰풍선은 무책임한 행동이며 미국의 주권과 국제법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지적했다”고 설명했다.
관련 뉴스
![▲미국 몬태나주 빌링스 상공에 1일(현지시간) 정찰용 풍선이 떠 있다. 빌링스(미국)/AP연합뉴스](https://img.etoday.co.kr/pto_db/2023/02/20230203150016_1848481_1200_974.jpg)
미국과 중국은 지난해 중국과 러시아의 밀착 관계와 더불어 낸시 펠로시 전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을 계기로 높은 긴장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지난해 말 미중 정상회담 이후 양국은 표면적으로나마 대화 분위기를 유지했다. 블링컨 장관도 이번 방중에서 진강 외교부장을 만나고, 시 주석도 볼 수 있기를 희망하는 상황이었다.
다만 블링컨 장관은 외교적 소통 채널을 열어두고, 여건이 허락하는 대로 중국을 방문하겠다는 여지를 남겨뒀다.
중국은 정찰풍선에 대해 “그 비행정은 중국에서 간 것으로 민간용이며, 기상 등 과학연구에 사용되는 것”이라고 설명했으나, 미국은 중국의 설명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