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8월 여성 취업자가 32만 명 늘면서 고용 증가세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전담반(TF) 10차 회의에서 '여성 고용현황 및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1∼8월 여성 취업자는 전년동기대비 32만4000명 늘었다. 여성 고용률은 53.9%로 1년 전보다 1.3%포인트(p) 증가했다. 같은 기간 남성의 고용률이 0.2%p 줄어든 것을 고려하면 여성이 고용시장 증가세를 주도 하고 있는셈이다.
여성 고용은 보건 복지와 숙박 음식 등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20∼24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고용이 늘었다. 특히 30대의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기재부는 "미혼 여성 고용률 증가와 함께 기혼 및 유자녀 여성의 고용률도 예전과 달리 증가하면서 고용 호조세를 견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1~8월 기혼 여성의 고용률가 유자녀 여성의 고용률은 전년보다 각각 1.4%p, 1.5%p 늘었다.
정부는 여성 고용률 증가가 앞으로도 견조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6+6 부모육아휴직제' 도입, 근로시간 단축기간 확대 등 일・육아 병행 지원을 적극 확대할 계획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고용 현안 및 이슈(인구구조 변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도 논의됐다.
KDI는 보고서를 통해 "연령별 취업자수 증감은 고용여건에 변화가 없더라도 인구구조 변화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구요인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인구가 감소(증가)하는 연령대의 취업자수 증감은 고용여건을 실제보다 더 부정적(긍정적)으로 보이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인구요인을 고려한 고용률 지표가 취업자수보다 고용여건 변화를 보다 정확히 보여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제3차 빈일자리 해소방안을 마련해 내주 중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발표할 계획이다. 방안에는 지역 특성을 고려한 현장감 있는 지역별 맞춤형 일자리 지원 및 미스매치 해소 방안이 담길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