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워스트] 아가방컴퍼니, 저출산 정책 기대감에 47.13%↑

입력 2024-01-06 09: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 에프앤가이드)
(출처= 에프앤가이드)

코스닥은 한 주(2일~5일)간 11.76포인트(p)(1.36%) 오른 878.33에 거래를 마쳤다. 이 기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685억 원, 477억 원 순매수했지만, 기관은 1606억 원 순매도했다.

6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한 주간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한국정밀기계로 51.09% 오른 3800원에 장을 마쳤다.

특별한 호재성 공시나 이슈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아가방컴퍼니는 47.13% 상승한 5760원을 기록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저출산 문제를 주요 국정과제로 언급하는 등 저출산 문제 해결에 관심이 쏠리자 육아 관련주인 아가방컴퍼니 주가가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고바이오랩은 42.19% 상승한 1만2100원에 거래 중이다.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합병 영향으로 주가가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8일 셀트리온은 셀트리온헬스케어를 흡수합병하고 ‘통합 셀트리온’으로 출범했다.

고바이오랩은 셀트리온과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을 공동 개발 연구 중이다.

이밖에 컨텍(41.60%), 신성델타테크(40.95%), 픽셀플러스(39.91%), 캡스톤파트너스(39.81%) 등이 큰 오름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코스닥시장에서 가장 큰 낙폭을 보인 종목은 헬릭스미스로 32.17% 하락한 4185원을 기록했다.

유전자 치료제로 개발 중인 ‘엔젠시스’가 미국 임상 3상에서 유효성을 입증하지 못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대동금속은 16.38% 내린 1만2250원에, 큐리언트는 16.06% 내린 3902원에 장을 마감했다.

두 종목 모두 이 기간 특별한 악재성 공시나 이슈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데브시스터즈는 14.02% 내린 4만1700원을 기록했다.

지난달 28일 모바일역할수행게임(RPG) ‘쿠키런:킹덤’을 중국에 출시한 후 신작 출시 기대감이 소멸하면서 주가가 하락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밖에 에이프릴바이오(-13.65%), 피씨엘(-13.39%), 씨싸이트(-13.36%), 씨에스베어링(-12.62%) 등이 큰 내림세를 보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561,000
    • -2.39%
    • 이더리움
    • 2,696,000
    • -5.37%
    • 비트코인 캐시
    • 435,600
    • -5.59%
    • 리플
    • 3,003
    • -6.01%
    • 솔라나
    • 179,400
    • -4.93%
    • 에이다
    • 956
    • -5.63%
    • 이오스
    • 1,180
    • +15.8%
    • 트론
    • 348
    • -1.14%
    • 스텔라루멘
    • 382
    • -5.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580
    • -5.36%
    • 체인링크
    • 19,360
    • -7.9%
    • 샌드박스
    • 380
    • -7.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