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우 장관 “주택임대시장 패러다임, 장기임대로 바뀌어야”

입력 2024-03-15 15: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개인 간 비제도권 전월세, 주거 불안 불러와”

▲국토교통부는 15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업형 장기임대 도입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간담회를 개최했다. 박상우(앞줄 왼쪽 다섯 번째) 국토부 장관 등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정용욱 기자 dragon@)
▲국토교통부는 15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업형 장기임대 도입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간담회를 개최했다. 박상우(앞줄 왼쪽 다섯 번째) 국토부 장관 등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정용욱 기자 dragon@)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기업형 장기임대주택 도입을 통한 임대시장 패러다임 변화를 추진하겠다”고 15일 밝혔다.

국토부는 이날 서울 여의도 태흥빌딩에서 간담회를 열고 ‘민간임대주택’을 주제로 업계와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에는 박 장관과 함께 정원주 주택건설협회장, 김승배 부동산개발협회장 등 주요 단체장과 건설사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박 장관은 “현행 개인간 전월세 위주의 주택임대시장 패러다임을 장기임대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며 “기업형 장기임대가 활성화되면 국민에게는 좋은 품질의 주택에서 수준 높은 주거서비스를 받으며 적정한 수준의 임대료를 내고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새로운 주거 선택권이 제공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장관은 현행 임대시장의 문제점과 관련해 “현재 임대시장은 60% 이상이 개인 간의 비제도권 전월세로 구성되어 주거 불안에 노출됐다”며 “공공임대, 민간등록임대와 달리 일반 전월세는 2~4년 내 비자발적 퇴거 위험에 노출돼 있고, 최근에는 역전세와 전세사기로 주거불안이 가중됐다”고 지적했다.

박 장관은 앞으로 기업형 임대주택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 확대도 예고했다. 박 장관은 “최근 코리빙 등 항구적인 임대주택을 운영하면서 특화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형 임대주택 모델이 등장했다”며 “아직 임대료 증액 제한 등 임대사업자에 대한 규제로 안정적인 운영이 어려워 활성화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업형 임대주택 시장의 성숙을 위해 기존 규제 위주의 임대주택 틀을 규제 완화와 합리적 수준의 지원으로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 ‘임대료 규제 완화’와 ‘의무임대 기간 중 임차인 변경 시 임대료 시세 반영’ 등 규제 완화책도 시행하겠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박 장관은 “건설업계와 임대주택 업계에선 임대 주택시장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기업형 장기임대 주택의 공급과 안정적 임대 운영을 위해 힘써달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故장제원 전 의원, 빈소는 부산 해운대백병원…오늘부터 조문
  • ‘폐암 신약 찾아라’…국내 바이오텍 초기 임상 활발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날씨] 전국에 내리는 봄비…수도권ㆍ충남은 초미세먼지 주의보
  • 윤석열 탄핵 선고 앞둔 헌재·안국역 주변 도로통제 현황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15:0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624,000
    • +1.05%
    • 이더리움
    • 2,750,000
    • +0.59%
    • 비트코인 캐시
    • 448,200
    • -2.03%
    • 리플
    • 3,073
    • -1.63%
    • 솔라나
    • 183,400
    • -2.03%
    • 에이다
    • 985
    • -0.81%
    • 이오스
    • 1,143
    • +13.62%
    • 트론
    • 351
    • -0.28%
    • 스텔라루멘
    • 393
    • -0.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670
    • -2.83%
    • 체인링크
    • 19,940
    • -1.38%
    • 샌드박스
    • 395
    • -2.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