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2일(현지시간) 트레이더가 주가를 살피고 있다. 뉴욕(미국)/AFP연합뉴스](https://img.etoday.co.kr/pto_db/2024/04/20240403064405_2007828_1200_800.jpg)
뉴욕증시는 6월 기준금리 인하설이 차츰 힘을 잃어가면서 하락했다. 지난주 발표된 경제지표 강세와 더불어 이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 위원들의 발언이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96.61포인트(1%) 하락한 3만9170.24에 마감했다. S&P500지수는 37.96포인트(0.72%) 하락한 5205.8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56.38포인트(0.95%) 내린 1만6240.45에 거래를 마쳤다.
주요 종목 중엔 마이크로소프트(MS)가 1.25% 하락했고 애플과 알파벳은 각각 0.7%, 0.4% 내렸다. 테슬라는 4.9%, 엔비디아는 1.01% 하락했다. 반면 메타는 1.23% 상승했다.
CNBC방송에 따르면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시간이 지나면 2%까지 하락하는 것이 가장 가능성 있는 시나리오라고 생각한다”며 “그러나 자신감을 높이려면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다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때까지 그런 결정을 내릴 만큼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관련 뉴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역시 “세 번의 금리 인하는 전망일 뿐 약속은 아니다”며 금리인하 기대감을 낮췄다.
이 소식에 금리 방향을 추적하는 CME그룹 페드워치에서 6월 금리 인하 확률은 일주일 전 70%에서 현재 63%까지 낮아졌다.
국제유가는 러시아 정유시설이 우크라이나 드론에 피격됐다는 소식에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1.44달러(1.72%) 상승한 배럴당 85.15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6월물 브렌트유는 1.53달러(1.75%) 오른 배럴당 88.94달러로 집계됐다.
두 유종 모두 5개월래 최고치를 이어갔다. WTI는 지난해 10월 이후 처음으로 85달러 선을 넘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서부 타타르스탄 자치공화국 공업지대를 드론 공격했고 이 과정에서 러시아 최대 정유소 중 한 곳이 피해를 봤다.
타타르스탄의 루스탐 민니하노프 수장은 텔레그램에 “공업지대가 드론의 표적이 됐다”며 “심각한 피해는 없고, 기업들의 기술 작업이 중단되진 않았다”고 밝혔다.
전날에는 이스라엘이 시리아 주재 이란 영사관을 폭격하는 등 지정학적 긴장이 계속 유가를 끌어올리고 있다.
부활절 연휴를 마친 유럽 주요 증시는 일제히 하락했다.
범유럽 주가지수 스톡스유럽600지수는 508.57로 0.80% 하락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증시 DAX30지수는 1.13% 내린 1만8283.13으로, 프랑스 파리증시 CAC40지수는 0.92% 밀린 8130.05로 장을 마쳤다. 영국 런던증시 FTSE100지수는 0.22% 하락한 7935.09를 기록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값이 또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금 현물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1.2% 상승한 온스당 2276.79달러를 나타냈다. 현물 가격은 장중 사상 최고치인 2276.89달러를 찍었다.
금 선물 가격은 1.6% 오른 온스당 2292.7달러에 마감했다.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은 물론 2300달러 선에 바짝 다가섰다.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안전자산인 금 수요가 커졌다.
주요 가상자산 가격이 하락했다.
미국 가상자산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한국시간 3일 오전 8시 5분 현재 24시간 전보다 5.67% 하락한 6만5797.3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 가격은 5.93% 내린 3295.86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리플은 0.58813768달러로 3.91% 떨어졌다. 도지코인은 9.82% 급락한 0.18502135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뉴욕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는 약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후 하락세를 보였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ICE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 대비 0.25% 내린 104.75를 기록했다. 달러·엔 환율은 0.01% 하락한 151.54엔을, 유로·달러 환율은 0.01% 내린 1.0769달러를 나타냈다. 유로·엔 환율은 0.01% 하락한 163.20엔으로 집계됐다.
달러인덱스는 지난해 11월 14일 이후 최고치인 105.1까지 올랐다. 미국 노동시장 수요가 견조하고 제조업이 확장세를 보이면서 연준의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후퇴한 까닭이다.
미 노동부가 공개한 2월 구인 건수는 875만6000건으로 집계돼 전월과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3을 기록해 17개월 만에 50을 웃돌았다. 통상 PMI는 50을 기준으로 그 위면 경기확장을, 아래면 위축을 뜻한다.
BNY멜론의 존 벨리스 미주 거시 전략가는 “실제로 지난 9개월 동안 달러는 연준의 정책 기대감에 따라 움직여 왔다”며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지면 달러는 약세를 보이고 그 반대일 경우 강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