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정부가 농협이 담당하고 있는 농업인에 대한 신용보증기능을 농림수산금융공사(가칭)로 넘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갔지만 농협은 이에 대해 "금시 초문"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농림수산금융공사는 농어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새로운 자금 공급 체계가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정부가 구상하고 있는 조직이며 현재 농어업선진화위원회에서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도 됐다.
농림수산식품부의 한 관계자는 지난 17일 “현재의 농업금융 체계는 자금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농림수산금융공사를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사는 담보 없이 사업계획서 등을 검토해 사업성을 근거로 자금을 융자해준다는 구체적인 방안까지 세운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농업 분야에 공급되는 금융 지원에는 정부의 정책자금과 농협 상호금융 자금, 농협중앙회 자금 등이 있는데 모두 자산을 담보로 잡거나 농림수산업자 신용보증기금(농신보)의 보증을 받아 빌려주는 형태다. 신용대출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농협 관계자는 18일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지침이 내려온 적도 없고 아직 농협 내부적으로 검토된 바도 전혀 없다"며 "그야말로 하나의 설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또 언론 보도에 나온 농협 관계자의 언급에 대해서도 "금융공사 설립을 가정해서 말씀드린 것" 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