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전세 너무 비싸다"…셋 중 한 집 아파트 입주 포기

입력 2024-05-10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료제공=주택산업연구원)
(자료제공=주택산업연구원)

지난달 전국 수분양 가운데 40% 가까이는 입주를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싼 분양가와 전세가 상승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4월 전국 입주율이 63.4%로 전월보다 5%p 하락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80.6%에서 77.6%로 3%p 낮아졌다. 비수도권 5대 광역시는 70.9%에서 62.5%, 기타지역은 62%에서 58.8%로 각각 8.4%p, 3.2%p 하락했다.

수도권 중 서울(85.2%→86.2%)은 소폭 상승했지만, 인천·경기권은 5%p(78.3%→73.3%) 떨어졌다.

주산연은 "입주물량이 전월 1만6227가구에서 6958가구로 축소됐음에도 불구하고 인천·경기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분양가격이 매매가격보다 비싸져 수요가 줄고 입주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방에서는 대구·부산·경상권이 57%로 2017년 6월 이후 가장 낮은 입주율을 기록했다. 은행대출 금리 인상이 예견된 가운데 대구·부산 인기 지역 아파트 전셋값이 최근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여 전·월세 수요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선 영향으로 해석된다.

미입주 원인 중 잔금대출 미확보(21.8%→21.4%)와 기존 주택매각 지연(36.4%→33.9%) 요인은 하락했지만, 세입자 미확보(23.6%→33.9%)와 분양권 매도 지연(1.8%→3.6%)은 상승했다. 세입자 미확보 비율은 올해 1월 14.9%에서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은행권 가계대출 금리가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어 세입자 미확보 요인은 앞으로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5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79로 전월보다 3.6p 상승했다. 수도권은 5.4p(91.3→85.9) 내려갔지만, 광역시(70.7→80.5)와 도 지역(73.0→75.2)은 높아졌다.

수도권은 서울(102.7→94.8), 인천(80.0→79.3), 경기(91.4→83.7) 모두 하락했다. 전월 상승에 따른 조정으로 풀이된다.

지방에서는 세종(73.3→92.8)이 대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공동주택 공급과 주변 인프라 개발을 통한 개발 호재를 기대하는 주택사업자들의 긍정적인 전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세종시는 지난달 '2024 세종시 공동주택 공급계획'을 통해 총 8072가구의 아파트 공급계획을 발표했다.

주산연은 "정부가 신혼부부 버팀목 전셎금 대출, 신생아 특례 대출 소득 기준을 완화하는 등 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은행권의 대출금리 인상 조짐 등이 있다"며 "주택 구입, 전월세 자금을 위한 수요자의 대출 문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 부과…한국 25%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09:4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021,000
    • -1.75%
    • 이더리움
    • 2,716,000
    • -3.45%
    • 비트코인 캐시
    • 441,800
    • -3.01%
    • 리플
    • 3,070
    • -2.72%
    • 솔라나
    • 178,600
    • -4.95%
    • 에이다
    • 970
    • -3.19%
    • 이오스
    • 1,213
    • +19.63%
    • 트론
    • 351
    • -0.85%
    • 스텔라루멘
    • 391
    • -2.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200
    • -3.12%
    • 체인링크
    • 19,700
    • -4.55%
    • 샌드박스
    • 391
    • -3.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