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빼곡히 들어선 서울 도심의 모습. (사진제공=연합뉴스)](https://img.etoday.co.kr/pto_db/2024/05/20240515101944_2024916_600_315.jpg)
지난해 글로벌 경기 둔화와 반도체 수출 부진 여파로 대기업집단의 당기순이익이 3년 만에 100조 원 아래로 뚝 떨어졌다. 대기업집단 중 SK의 순이익이 10조 원 넘게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전체 당기순이익에서 삼성 등 상위 5대 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은 65% 가까이 확대돼 이들 집단의 쏠림 현상이 심화됐다.
공정거래위원회가 14일 발표한 2024년 공시대상기업집단(자산총액 5조 원 이상ㆍ이하 공시집단) 지정 자료에 따르면 올해 5월 지정 88개 공시집단의 당기순이익은 작년 12월 말 기준 98조9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16조3000억 원(14.6%) 줄었다. 2년 연속 감소세이며 2020년 이후 3년 만에 순이익이 100조 원을 하회했다.
공시집단의 순이익은 2021년 125조8000억 원으로 치솟은 이후 2022년 115조2000억 원, 2023년 98조9000억 원으로 축소됐다.
관련 뉴스
공시집단 가운데 국내총생산(GDP) 대비 자산총액 0.5% 이상(10조4000억 원)인 48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당기순이익도 104조6000억 원에서 89조6000억 원으로 15조 원(14.3%) 감소했다.
지난해 순이익이 줄어든 것은 글로벌 경기 둔화와 반도체 수출 부진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전체 공시집단 중 SK의 순이익이 반도체 시황 악화 및 유가 하락에 따른 관련제품 판가 하락으로 전년대비 10조4000억 원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SK는 2022년에도 가장 큰 순이익 감소(-7조3000억 원)를 보인 바 있다.
이어 HMM(-9조 원, 해운운임 약세), 태영(-2조7000억 원,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사업 손실 반영)이 뒤를 이었다.
반면 순이익이 많이 증가한 집단은 현대자동차(+19조 원), 삼성(+4조7000억 원), 쿠팡(+2조2000억 원) 순이었다.
현대자동차는 차량 판매 증가 및 환율 변동에 따른 효과, 삼성은 투자법인 배당 증가 등에 따른 실적 개선, 쿠팡은 제품 판매 증가 및 공급망 효율성 증대가 순이익 증가로 이어졌다.
전체 공시집단 순이익에서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포스코 등 상위 5개 집단의 쏠림은 심화됐다. 5개 집단이 전체 순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2.9%에서 64.9%로 1년새 12%포인트(p)나 늘었다.
공시집단 매출액은 2022년 1979조1000억 원에서 2023년 1907조3000억 원으로 71조8000억 원(3.6%) 감소했다. 매출액이 가장 많이 줄어든 집단은 삼성(-45조9000억 원)으로 반도체 시황 악화에 따른 부품사업 실적 악화가 영향을 미쳤다. 이어 SK(-23조2000억 원), HMM(-10조2000억 원)이 뒤를 이었다.
매출액이 많이 증가한 집단은 현대자동차(+34조7000억 원), 한화(+10조8000억 원), 쿠팡(+8조 원) 순이었다. 각각 친환경차 판매 호조, 대우조선해양 계열사 편입ㆍ방산 부문 수출 호조, 분기별 1회이상 구매고객 수 및 구매액 증가가 주효했다.
공시집단 자산총액은 전년보다 241조4000억 원(8.5%) 증가한 3074조3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자산총액(금융보험사 제외) 기준 삼성(497조 원)이 재계 서열 1위 자리를 고수했다. SK(334조 원)와 현대자동차(269조 원)는 각각 2위, 3위로 순위 변동이 없었다.
순위가 많이 상승한 집단은 쿠팡(45위→27위), 에코프로(62위→47위), 교보생명보험(53위→39위)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