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교 학생은 사교육을 받는 것보다 자기주도학습을 하는 것이 학업 성취도가 더 높게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목표의식과 자존감 등을 높이는 데도 자기주도학습이 더 중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24일 교육부와 사교육정책연구센터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2024 제1회 사교육 정책 토론회(포럼)’를 개최했다.
앞서 교육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초·중·고 사교육비는 27조1000억 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바 있다. 교육부는 사교육 경감 종합대책을 내놓는 등 사교육비 축소에 힘쓰고 있다.
이날 박윤수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는 ‘사교육과 자기주도학습이 학생의 역량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발제를 통해 지난 2012년 서울 초6, 중3, 고3 학생들을 대상으로 월 100만 원의 사교육과 하루 1시간의 자기주도학습이 학업성취도와 비인지 역량에 미친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발표했다.
박 교수는 “사교육은 모든 학교급과 교우관계·자존감·창의적 성격·목표의식 등 모든 역량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다”면서 “자기주도학습은 목표의식을 매우 뚜렷하게 증가시켰고, 자존감과 창의적 성격에 대해서도 유의한 효과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어 “학업 성취도의 경우 초등학교에서는 사교육과 자기주도학습의 효과가 유사했지만, 중학교에서는 자기주도학습의 효과가 더 컸고, 고등학교에서는 자기주도학습만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고 덧붙였다.
방과후학교에 참여하는 게 사교육보다 비용 대비 우월한 성적 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날 ‘성적향상도로 본 방과후학교와 사교육의 상대적 효율성’을 주제로 발제에 나선 김진영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실증분석 결과 “사교육의 비용이 월등히 높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방과후학교가 사교육에 비해 최소한 열등하지 않으며, 학교급이나 학생의 이전 성취도에 따라서는 (방과후학교가) 더 우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방과후학교가 자기주도학습에 더 가까운 형태로 운영된다면, 자기주도학습이 익숙한 상위권 학생들에게는 방과후학교 참여 시간을 늘리는 게 성적 유지나 상승에 더 유리할 수 있다”고도 밝혔다.
이외에도 이날 류덕현 중앙대 교수를 좌장으로 강창희 교수(사교육정책연구센터 소장), 김이경 중앙대 교수, 강명규 국가교육위원회 위원, 김태훈 교육연구사(부산시교육청학력개발원) 등이 토론에 참여해 사교육의 효과와 경감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교육부는 이번 포럼 및 토론회에서 논의된 사항 등을 반영해 학업 성취 효과가 높은 방과후학교를 더 활성화하고,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제고하기 위해 ‘사교육 부담 없는 지역‧학교’ 사업 등 현장 기반의 맞춤형 사교육 경감 프로그램 지원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박성민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은 “사교육이 실제로 학업 성취 등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라며 “교육부는 사교육정책연구센터 등과 지속해서 협력해 사교육의 실제와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확대하고, 과학적인 데이터에 기반한 사교육 경감 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