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1인 미디어 콤플렉스’ 지원으로 유니콘 성장 발판 마련

입력 2024-06-21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크리에이터 미디어 성장을 위한 인프라인 ‘1인 미디어 콤플렉스’ 운영을 통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 가능한 스타트업이 발굴됐다고 21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2021년 8월부터 크리에이터 복합 성장 공간인 ‘1인 미디어 콤플렉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초기 창업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전용 사무공간(현재 34개 기업 입주)과 미디어 제작 특화 스튜디오를 제공한다.

‘트웰브랩스’는 ‘1인 미디어 콤플렉스’ 1기 입주 기업으로, 한국 AI 스타트업 최초로 엔비디아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에서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투자로 ‘트웰브랩스’는 누적 약 1,060억 원 규모의 투자를 받으며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 가능성을 제시했다.

90년대생 청년 이재성 대표가 이끄는 트웰브랩스는 영상 분석과 이해에 특화된 스타트업으로, 2021년 설립 이후 글로벌 리서치 기업인 CB 인사이트가 선정한 글로벌 100대 AI 스타트업에 3년 연속 선정되며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트웰브랩스는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멀티모달 기술을 활용해 영상을 이해하는 대형 AI 모델을 자체 개발했다. 해당 AI 모델은 영상을 분석해 △서술형으로 요약하고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거나 △사용자 질문에 대답 △사용자의 검색 조건에 맞는 영상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

트웰브랩스는 영상 속 정보들을 사람처럼 이해할 수 있는 독보적인 영상‧언어모델(VLM)을 갖추며, 기술력 만으로 글로벌 유망 기업으로 성장했다.

과기정통부는 1인 미디어 콤플렉스를 통해, 트웰브랩스 이외에도 2021년부터 현재까지 총 55개 스타트업의 성장을 지원했으며, 입주 기업은 누적 매출액 약 263억 원, 국내·외 투자유치 1,092억 원, 신규고용 총 178명을 창출하는 등 좋은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제2의 트웰브랩스’ 발굴을 위해 미디어·콘텐츠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CRE-UP 2024”를 통해 20개 스타트업을 선정․지원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최준호 방송진흥정책관은 “크리에이터 미디어 분야는 청년 유입이 활발한 대표적인 청년 일자리 창출 영역에 해당한다”며 “AI 등 혁신기술의 접목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진출 지원을 확대하여 유망 스타트업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미국 “철강ㆍ자동차ㆍ반도체 등 상호관세 미적용”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112,000
    • -2.67%
    • 이더리움
    • 2,677,000
    • -5.87%
    • 비트코인 캐시
    • 437,100
    • -4.98%
    • 리플
    • 3,008
    • -5.73%
    • 솔라나
    • 177,200
    • -6.19%
    • 에이다
    • 953
    • -5.83%
    • 이오스
    • 1,174
    • +14.76%
    • 트론
    • 347
    • -1.42%
    • 스텔라루멘
    • 382
    • -5.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720
    • -5.03%
    • 체인링크
    • 19,180
    • -8.75%
    • 샌드박스
    • 378
    • -8.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