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의 예견이 현실화하는 것일까. 8월 들어 국내외 증시가 휘청이면서 개미투자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미국발 ‘R’(Recession·경기침체) 공포가 세계 금융시장을 짓누르고 있다. 특히, 국내 증시는 그동안 유동성을 기반으로 많이 올랐던 기술기업들이 대형주에 포진해 있어 하락 폭이 두드러진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일 각별한 대응체계 유지를 당부했다. 최 부총리는 이날 확대간부회의에서 “중동의 지정학적 불안 등 불확실성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며 “미국 경기둔화 우려 부각 등으로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이 크게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관계 기관과 함께 높은 경계심을 갖고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유지해달라”며“필요시 컨틴전시 플랜(contingency plan)에 따라 긴밀히 공조·대응해 달라”고 지시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도 거시·금융 전문가들과 금융리스크 점검회의를 열어 “주식시장 변동성에 대해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증시의 발목을 잡은 것은 2일(현지 시간) 발표된 미국의 실업률이 예상치(4.1%)를 상회한 4.3%를 기록하는 등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가 커진 여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팬데믹 후 미국 경제는 예상치 못하게 새로운 역동성을 얻었는데, 이제 그것이 사라질 위험에 처했다”고 했다. 지난 1일 발표된 미국 7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역시 46.8로 경기 침체 신호를 보냈다.
시장에서는 경기 침체 신호 중 하나인 ‘삼 법칙(Sahm Rule)’이 발동됐다는 시각이 나온다. 삼 법칙은 실업률 3개월 평균이 직전 12개월의 저점보다 0.5%포인트 높아지면 경기 침체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다.
김상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고용지표가 8월에도 부진할 경우, 연준이 9월 빅컷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 일각에서는 연준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전에 임시회의를 열어서 기준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며 “하지만 임시회의 개최는 미국 경제에 정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시그널을 줄 수 있기에 8월 지표 확인 후 9월 빅컷이 가능성 큰 시나리오라고 본다”고 말했다.
여기에 엔 캐리트레이드가 청산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 주가를 끌어내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외환시장에서는 엔캐리 트레이드 규모를 지난해 말 기준으로 137조5000억 엔으로 보고 있다.
인공지능(AI) 산업과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에 대한 거품론까지 불거지면서 실물경제와 기업 실적이 생각보다 빨리 악화되고 있다는 불안감도 시장을 압박했다.
워런 버핏이 이끄는 미국 투자사 버크셔 해서웨이가 보유하고 있던 애플 주식 지분을 올해 들어 절반 수준으로 대폭 줄였다는 소식과 AI랠리를 이끌고 있는 엔비디아의 차세대 칩 블랙웰이 설계 결함으로 인해 생산이 지연됐다는 소식도 악재였다.
중동 리스크와 미국 대선을 앞둔 불확실성도 미국 경기를 누르는 요인 중 하나다.
1999년 닷컴 버블 붕괴가 재현되는 것일까. 최근 몇 년 새 글로벌 자산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 뜨겁게 달아올랐다. 부동산의 경우 매도자 ‘절대 우위’ 시장으로 재편돼 집값은 말 그대로 ‘부르는 게 값’이다. 증권시장에서는 팬데믹 이후 각국 정부의 ‘돈 풀기’로 유동성이 풍부해진 데다, 신산업 발달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새 기업이 나타날 때마다 자금을 쓸어가다시피 했다.
시장전문가들은 닷컴 버블과 다르지만, “전망이 무의미”하다며 말을 아낀다. 1999년엔 각광받는 IT기업은 대체로 신생 기업이었으나, 현재 시장을 이끄는 기술주 기업들은 상당 기간 성장성과 수익성을 검증받은 업체라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이진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이미 코스피가 적정 가치를 밑돌고 있는 저평가 상황”이라며 “유동성 변동이 워낙 예측 불가능한 상황으로 가고 있어 단기적으로 어느 수준까지 갈지 예측이 어렵다”고 말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워낙 공포심리가 팽배한 데 따른 등락은 당분간 불가피할 것”이라고 했다. 현시점 유효한 투자 전략으로는 “워낙 단기 급락 중이라 추격 매도에도 실익이 없을 것”이라며 당분간 시장을 관망할 것을 추천했다.
잿빛 전망에 반대매매 공포도 커졌다. 2일 기준 ‘빚투’(신용거래융자) 규모는 19조4226억 원이다.
반면,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실제 경기침체가 오려면 유가가 더 내리고 구리 가격도 내려야 하는데 구리의 경우 반등이 나오고 있다. 중국 증시도 나름 선방 중”이라며 이번 매도세는 단기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한편, 시장 전문가들 사에서는 미 공급관리협회(ISM) 서비스업 지수가 시장 예상에 부합할 경우 ‘ R’공포가 완화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또한, 오는 6일 새벽 예정된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의 입에도 주목한다. 그는 이날 통화정책과 경제동향에 대해 발언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