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등락주 짚어보기] 상지건설·신원종합개발, 그린벨트 해제 소식에 상한가 기록

입력 2024-08-09 16: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
(출처=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

9일 코스피 시장에서 상한가와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없었다.

같은날 코스닥 시장에선 상지건설, 신원종합개발, 셀리드, 국영지앤엠, 미래반도체, 에스엘에스바이오, 아이엠비디엑스, 그린생명과학 등 8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없었다.

전날 정부가 부동산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그린벨트를 해제하고 오는 11월 5만가구 규모의 신규 택지를 발표한다고 밝히면서, 그린벨트 해제소식에 관련주들이 뛰었다.

이에 상지건설(29.96%), 신원종합개발(29.96%)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유리가공업을 건축용 등에 공급하는 국영지엔앰도 전거래일 대비 319원(29.95%) 오른 1384원에 장을 마쳤다.

셀리드는 전 거래일 대비 1820원(29.98%) 오른 7890원에 장을 마쳤다. 코로나19 백신 'AdCLD-CoV19-1 OMI'에 적용된 독자적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플랫폼 기술에 대한 중국과 일본 특허 등록이 결정됐다고 밝히면서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특허는 셀리드가 개발중인 'AdCLD-CoV19-1 OMI'에 적용된 복제불능 아데노바이러스 대량생 산에 최적화된 벡터 구조에 대한 것이다.

에스엘에스바이오는 전 거래일 대비 1030원(29.90%) 오른 4475원에 마감했다. 글로벌 제약·바이오사 노보노디스크가 블록버스터 비만치료제 ‘위고비 프리필드펜’의 국내 출시를 공식화하면서 매수세가 몰렸다.

노보노디스크는 에스엘에스바이오에 최근 노보노디스크 비만치료제 '위고비'의 품질관리에 대한 기술 이전을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린생명과학은 전 거래일 대비 710원(28.98%)오른 3160원에 마감했다. 최근 코로나19 재유행 조짐이 보이면서 미국 제약사 화이자의 팍스로비드가 약국에서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는 소식이 들리면서다.

그린생명과학은 팍스로비드를 생산하는 화이자에 항생체 중간체를 독점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미래반도체(29.95%), 아이엠비디엑스(29.83%) 등도 상한가를 기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사모펀드에 돈 쏟아붓는 은행들...5대 은행 36조 투자
  • FDA 재도전 불발된 HLB…무거운 분위기 감돈 주총장 [가보니]
  • 정용진·김동선도 출사표...유통가, 왜 테마파크에 꽂혔나 [K테마파크 르네상스]
  • 트럼프 “3선 농담 아냐…할 방법 있어”
  • 이혼 거치며 더 끈끈해지거나 소송하거나…다양한 부부의 세계 [서초동 MSG]
  • 김수현, 오늘(31일) 기자회견 연다…시간은?
  • [위기의 시진핑] ‘딥시크의 덫’에 빠진 시진핑
  •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챗GPT 이미지 생성 반응 폭발…렌더링 딜레이 속출
  • 오늘의 상승종목

  • 03.31 14:3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035,000
    • -1.83%
    • 이더리움
    • 2,688,000
    • -2.4%
    • 비트코인 캐시
    • 444,600
    • -3.05%
    • 리플
    • 3,122
    • -4.5%
    • 솔라나
    • 187,200
    • -0.9%
    • 에이다
    • 978
    • -4.02%
    • 이오스
    • 879
    • +0.69%
    • 트론
    • 346
    • +0.29%
    • 스텔라루멘
    • 395
    • -2.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290
    • -1.89%
    • 체인링크
    • 19,860
    • -3.31%
    • 샌드박스
    • 401
    • -2.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