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SK에코플랜트 등과 연료전지 핵심 소재 국산화 성공

입력 2024-09-04 17: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료전지 기술 자립 통해 수소경제 도약 앞당길 것"

▲한국수력원자력이 4일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으로 열린 '2024 대한민국 에너지대전(부산 BEXCO)'에 참석해 SK에코플랜트·블룸에너지·블룸SK퓨얼셀 등 4개 기관 및 중소기업과 함께 진행한 연료전지 전해질 소재 국산화 성공 결과를 발표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이 4일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으로 열린 '2024 대한민국 에너지대전(부산 BEXCO)'에 참석해 SK에코플랜트·블룸에너지·블룸SK퓨얼셀 등 4개 기관 및 중소기업과 함께 진행한 연료전지 전해질 소재 국산화 성공 결과를 발표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이 민간 기업과 손잡고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Solid Oxide Fuel Cell) 핵심 소재의 국산화에 성공했다.

한수원은 4일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으로 열린 '2024 대한민국 에너지대전(부산 BEXCO)'에 참석해 SK에코플랜트·블룸에너지·블룸SK퓨얼셀 등 4개 기관 및 중소기업과 함께 진행한 연료전지 전해질 소재 국산화 성공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국산화 성공은 SOFC 전해질의 핵심 소재 중 하나인 전해질의 원재료와 파우더 등이다.

한수원은 2021년 SK에코플랜트·블룸에너지·블룸SK퓨얼셀 등 4개 기관과 협약을 맺고 SOFC 주기기 주요 품목과 관련한 국내 유망 중소기업을 발굴해 기술을 지원하고 육성해 왔으며 마침내 국산품 개발에 성공하는 쾌거를 거뒀다.

게다가 이번에 국산화와 동시에 글로벌 시장 진출까지 성공하며 중소기업의 수출 역량을 높일 수 있게 됐다.

연료전지발전은 연소가 아닌 화학반응을 이용한 발전 방식으로,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미래지향적인 발전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SOFC은 백금과 같은 고가의 전극촉매가 필요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 전해질이 손실되지 않아 이를 보충할 필요도 없으며 전지가 부식되지 않으면서도 발전효율은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런 우수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외산 기자재라는 한계 때문에 대내외적으로 설비 도입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한수원은 관련 기업들과 협력하며 연료전지 기술의 국산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윤상조 한수원 그린사업본부장은 "연료전지 기술 자립을 통해 수소경제로의 도약을 앞당기는 데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더불어 기업에 성장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연료전지산업 생태계가 건강하게 조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수원은 최근 국가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기 위한 수소 전 주기 기술력 확보, 해외 수소 생산 사업개발과 국내 분산형 전원 확대 정책에 부합하는 다양한 수소 융·복합 사업모델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왕 할 알바라면…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주휴수당'도 챙기세요 [경제한줌]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서 머리 다친 피해자 결국 사망
  •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폭발적 반응…챗GPT가 알려준 현 상황은? [해시태그]
  • 김수현 "김새론과 5년 전 1년여간 교제"…미성년자 시절 교제 재차 부인
  • 의대생 돌아왔지만…교육부 “실제 수업 정상 참여가 복귀”
  • 발란, 결국 기업회생 신청…최형록 “회생 인가 전 M&A 목표”
  • "결국 구기종목"…'골프공'이 골프채보다 비쌌다 [골프더보기]
  • 'NC파크 사망자 애도' KBO, 내달 1일 전 경기 취소…주중 창원 경기도 연기
  • 오늘의 상승종목

  • 03.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368,000
    • -2.6%
    • 이더리움
    • 2,660,000
    • -3.34%
    • 비트코인 캐시
    • 432,400
    • -5.69%
    • 리플
    • 3,050
    • -6.27%
    • 솔라나
    • 183,900
    • -2.18%
    • 에이다
    • 947
    • -7.16%
    • 이오스
    • 908
    • +3.53%
    • 트론
    • 347
    • +0.58%
    • 스텔라루멘
    • 388
    • -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600
    • -5.39%
    • 체인링크
    • 19,400
    • -5.87%
    • 샌드박스
    • 394
    • -4.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