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차세대 ESS용 배터리 솔루션으로 북미 시장 공략

입력 2024-09-08 11: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Renewable Energy Plus 2024’ 참가

▲RE+2024 전시회에 참가하는 삼성SDI 부스 조감도. (사진제공=삼성SDI)
▲RE+2024 전시회에 참가하는 삼성SDI 부스 조감도. (사진제공=삼성SDI)

삼성SDI는 9일부터 나흘간 미국 애너하임(Anaheim)에서 열리는 북미 최대 에너지 전시회인 ‘RE+(Renewable Energy Plus) 2024’에 참가한다고 8일 밝혔다.

삼성SDI는 프라이맥스로 구현하는 지속 가능한 미래(A Sustainable Future Driven by PRiMX)라는 주제로 전력용 SBB(Samsung Battery Box) 1.5, 무정전 전원장치(UPS)용 고출력 배터리,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등 다양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라인업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삼성SDI는 이달 미국 출시 예정인 차세대 전력용 ESS 배터리 SBB 1.5를 전면에 내세운다. SBB는 20피트(ft) 컨테이너에 하이니켈 니켈ㆍ코발트ㆍ알루미늄(NCA) 배터리 셀과 모듈, 랙 등을 설치한 제품으로 전력망에 연결만 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SBB 1.5는 기존 제품 대비 에너지밀도가 37%가량 향상해 총 5.26메가와트시(㎿h) 용량을 구현했다.

SBB 1.5에는 화재 예방, 열확산 방지를 위해 모듈내장형 직분사(Enhanced Direct Injection) 기술을 적용했다. EDI 기술은 SBB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해당 셀을 포함하는 모듈에 소화약제가 분사되면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첨단 기술이다.

삼성SDI는 내년 양산 예정인 UPS용 고출력 배터리도 전시한다. UPS용 배터리는 소재 개발 등으로 기존 제품 대비 랙 당 출력을 40% 이상 향상하게 시켰다. 또한, 현재 주로 사용되는 납축 제품 대비 설치 공간은 1/9로 줄이고 수명은 3배 이상 늘어 효율적 공간 활용 및 운영비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삼성SDI의 ESS용 각형 배터리에는 기본적으로 벤트(Vent) 등 열확산 방지 기술을 적용했고 모듈에는 단열 시트와 소화 시트를 장착해 안전성을 높였다.

이 외에도 삼성SDI는 2026년 양산 목표로 개발 중인 LFP 배터리와 RE100, 탄소발자국 인증, 폐배터리 재생 노력 등 ESG 성과 및 전략도 소개한다.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은 “신재생에너지 시장 확대와 AI 시대 가속화에 따른 데이터센터 수요 급증으로 인해 ESS 시장이 향후 크게 성장할 것”이라며 “미국 등 글로벌 ESS 시장에서 삼성SDI만의 초격차 기술력으로 리더십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계엄령 선포 무효…국회의장 "계엄해제 결의안 국회 가결"
  • 한동훈 "이런 사태 발생 대단히 유감…계엄 선포 효과 상실"
  • 영국 BBC “한국 윤석열, 이 시점에서 계엄령 선포한 이유”
  • 계엄군 국회서 철수중...국회밖 시민들 “윤석열을 체포하라”
  • 한은 “4일 오전 중 임시 금통위 개최 예정…시장안정화 조치 논의”
  • 1987년 민주화 이후 처음…‘비상계엄’ 헌법상 근거는
  • 4일 정상등교 한다…교육부 “학사일정 정상 운영”
  • 계엄사 포고령 발표...“국회·정당 등 모든 정치활동 금지” [비상계엄]
  • 오늘의 상승종목

  • 12.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2,509,000
    • -1.11%
    • 이더리움
    • 4,943,000
    • -2.27%
    • 비트코인 캐시
    • 731,500
    • +1.32%
    • 리플
    • 3,487
    • -7.36%
    • 솔라나
    • 308,100
    • -1.85%
    • 에이다
    • 1,642
    • -0.55%
    • 이오스
    • 1,499
    • -3.48%
    • 트론
    • 394
    • +33.11%
    • 스텔라루멘
    • 702
    • -8.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98,000
    • -0.81%
    • 체인링크
    • 32,700
    • +5.93%
    • 샌드박스
    • 1,011
    • +13.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