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세실업, 미국 ‘텍솔리니’ 인수...김익환 부회장 “글로벌 경쟁력 강화”

입력 2024-09-24 09: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남미 수직계열화 프로젝트’ 일환....합성섬유 생산기술력 강화, 수익성 향상 기대

▲한세실업 로고 (사진제공=한세실업)
▲한세실업 로고 (사진제공=한세실업)

글로벌 패션 주문자개발생산(ODM) 기업 한세실업은 미국 섬유 제조업체 ‘텍솔리니(Texollini)’를 인수했다고 24일 밝혔다.

텍솔리니는 1989년 설립된 미국 대표 섬유 제조업체로 원단 제작부터 염색, 인쇄 및 마감, 디자인, 연구 개발 등 합성섬유 분야에서 독보적인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는 뉴발란스, 챔피온, 파타고니아, 알로 요가 등이 있다.

이번 인수는 한세실업이 추진 중인 ‘중남미 수직계열화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한세실업은 이번 인수를 통해 합성섬유 생산 기술력을 강화하고, 중남미 지역에서 확산되고 있는 니어쇼어링(Nearshoring) 트렌드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텍솔리니 공장은 완전 자동화된 생산 공정을 갖춰 원단 제작부터 염색, 인쇄까지 전 공정을 24시간 운영할 수 있다. 텍솔리니는 4000여 종이 넘는 다양한 종류의 원단을 매월 100만 파운드 이상 생산하고 있으며, 매월 120만 야드의 원단을 염색 처리하고 있다. 텍솔리니 공장이 있는 미국 캘리포니아 롱비치는 고속도로, 해상, 항공, 철도 등 주요 교통망에 접근이 쉬워 미국 내 물류 이동도 유리하다.

한세실업은 텍솔리니의 합성섬유 개발 기술 및 노하우를 활용해 액티브웨어, 속옷, 수영복 등 제품 카테고리 및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계획이다. 특히 액티브웨어와 같은 고단가 제품군을 확대해 수주를 늘리는 등 수익성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김익환 한세실업 부회장은 “텍솔리니는 뛰어난 기술력과 생산 능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이번 인수로 한세실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패션 산업에서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투자와 혁신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세실업은 미국, 베트남, 미얀마, 인도네시아, 니카라과, 과테말라 등 전 세계 9개국에서 20개 법인 및 10개 해외 오피스를 운영하는 글로벌 패션 ODM 기업이다. 전 세계 5만여 명이 한세실업에서 근무하며 갭(GAP), 타겟, 월마트 등 전 세계 유명 브랜드 의류를 생산ㆍ납품하고 있다. 또한 자체 개발한 스마트 공정시스템 ‘햄스(HAMS)’, 3D 가상 샘플 등 IT 기술을 적극 도입해 글로벌 패션 테크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왕 할 알바라면…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주휴수당'도 챙기세요 [경제한줌]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서 머리 다친 피해자 결국 사망
  •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폭발적 반응…챗GPT가 알려준 현 상황은? [해시태그]
  • 김수현 "김새론과 5년 전 1년여간 교제"…미성년자 시절 교제 재차 부인
  • 의대생 돌아왔지만…교육부 “실제 수업 정상 참여가 복귀”
  • 발란, 결국 기업회생 신청…최형록 “회생 인가 전 M&A 목표”
  • "결국 구기종목"…'골프공'이 골프채보다 비쌌다 [골프더보기]
  • 'NC파크 사망자 애도' KBO, 내달 1일 전 경기 취소…주중 창원 경기도 연기
  • 오늘의 상승종목

  • 03.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550,000
    • -0.01%
    • 이더리움
    • 2,717,000
    • +0.33%
    • 비트코인 캐시
    • 447,400
    • -1.5%
    • 리플
    • 3,120
    • -2.44%
    • 솔라나
    • 188,000
    • +1.24%
    • 에이다
    • 969
    • -3.1%
    • 이오스
    • 958
    • +6.8%
    • 트론
    • 351
    • +2.03%
    • 스텔라루멘
    • 398
    • -0.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080
    • -1.53%
    • 체인링크
    • 19,980
    • -1.28%
    • 샌드박스
    • 405
    • +0.7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