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UNITAID 보고서, 노을 AI 자궁경부암 진단 솔루션 사용 권고

입력 2024-10-07 10: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제기구 최초 자궁경부암 확진 선별검사에 AI 활용 기술 사용 권고

(사진제공=노을)
(사진제공=노을)

노을 주식회사는 인공지능(AI) 기반 자궁경부암 진단 솔루션 마이랩(miLab™) CER이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의약품구매기구(UNITAID)의 2024년 기술 보고서에 글로벌 진단 기업과 함께 이름을 올렸다고 7일 밝혔다.

임찬양 노을 대표는 “이번 보고서에서 선진국에서도 사용이 적합하다고 권고한 제품은 노을 마이랩 포함 단 3개 제품뿐”이라며 “고부가가치 영역인 암 진단 시장에서 확장성과 기술력을 확인받은 만큼 전사적인 역량을 더욱 집중해 연구 개발과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을 통해 성과 창출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UNITAID는 WHO 주도로 설립된 글로벌 보건 기구로 전 세계 혁신 의료기기 구매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4년 만에 발간된 이번 UNITAID의 기술 동향 보고서는 진보된 AI 기술을 포함한 최신 자궁경부암 진단 및 선진국에서 사용 가능한 제품 사례와 근거, WHO의 최신 권고사항까지 포함하고 있다.

노을의 miLab™ CER는 보고서에서 AI 기반 자궁경부 세포병리검사(Cytology) 제품으로 소개됐다. 동일 카테고리에서 글로벌 진단 회사인 로슈, 홀로직 제품들과 함께 이름을 올리며, 자궁경부암 확진을 위해 HPV검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선별검사(Triage) 기술로 권고됐다. 이 제품은 유럽 체외진단기기 인증(CE-IVD)을 획득했고, FDA 승인 획득을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다.

김태환 노을 최고사업책임자(Chief Business Officer, CBO)는 “해당 보고서는 자원이 제한적인 환경에서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는 전통적 세포병리 검사 과정을 AI 기술로 자동화하여 해당 검사(Cytology) 방식의 장점을 극대화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는 선별검사를 제공할 수 있는 구매력을 보유한 고소득 국가 시장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므로, 앞으로 미국 및 유럽 시장에서의 큰 기회 요인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궁경부암은 여성암 사망 원인 중 4번째로, 전 세계적으로 연간 35만 명이 이 암으로 사망한다. 매년 66만 명의 새로운 환자가 발견되며, 연간 검사 건수는 약 1억5000만 건에 달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023,000
    • -1.27%
    • 이더리움
    • 2,742,000
    • -3.55%
    • 비트코인 캐시
    • 447,300
    • -2.87%
    • 리플
    • 3,076
    • -3.45%
    • 솔라나
    • 183,800
    • -2.08%
    • 에이다
    • 987
    • -2.37%
    • 이오스
    • 1,212
    • +18.36%
    • 트론
    • 352
    • +0.28%
    • 스텔라루멘
    • 392
    • -2.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390
    • -3.15%
    • 체인링크
    • 19,810
    • -6.07%
    • 샌드박스
    • 396
    • -3.8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