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KB부동산에 따르면 올 3분기 서울의 소득 대비 주택가격비율(PIR)은 11.2로, 전년 동기(12.8) 대비 소폭 하락했다. 2019년 3분기(10.8) 이후 최저치이기도 하다. PIR은 주택 가격의 중간값을 가구 연 소득 중간값으로 나눈 수치다. 지난 분기 기준 월급을 꼬박 모아 집을 사는 데 11년 2개월이 걸린다는 의미다.
서울 PIR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유행 이후 급격히 상승했다가 엔데믹을 기점으로 낮아지는 추세다. 2019년 4분기(11.3)부터 오름세가 시작해 2022년 2분기에는 14.8까지 뛰었으나, 지난해 2분기부터 하락해 올 2분기에는 11.5까지 내려왔다.
코로나19 기간에는 서울에선 소득보다 자산 가격 상승 폭이 컸다. 이승범 한국지방세연구원 연구위원은 “통상 소득 증가 속도와 주택가격 증가 속도의 차이가 PIR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며 “PIR이 높으면 지역·소득 간 양극화가 확대됐다는 뜻으로 해석한다”고 말했다.
최근 PIR 하락 원인은 가구소득 상승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 집계 기준이 된 가구 소득 중간값은 8236만 원으로, 전년 동기(6593만 원) 대비 25%(1643만 원) 증가했다. 매입 대상이 된 집값도 올랐다. 같은 기간 이들 가구가 매입한 주택가격 중윗값은 9억2500만 원으로 지난해 3분기(8억4500만 원)와 비교하면 1년 만에 8000만 원가량 상승했다.
고소득자일수록 대출 시 한계가 줄어든다는 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정부가 9월부터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2단계를 도입하는 등 대출규제를 강화했지만, 대출은 상환 여력을 기반으로 시행되는 것이다 보니 고소득자는 이 같은 문턱을 넘기가 비교적 쉽다.
실제로 고소득자가 주택 구입을 위해 대출을 활용하는 비율이 저소득자 대비 높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차규근 의원(조국혁신당·비례대표)이 한국은행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주택 취득 목적 신규 가계부채 가운데 소득 상위 4분위(578가구)와 5분위(652가구)가 전체의 71.5%를 차지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대출한도가 줄어들면 대출을 최대한 일으켜야 집을 살 수 있는 수요층은 주택 구매가 불가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여전히 매수가 가능하다”며 “단기적으로는 지역적·국지적 양극화 심화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