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 11일 개최…내년 GDP 목표치·경기부양책 논의”

입력 2024-12-03 18: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경제성장률 5% 달성 사실상 실패
추가 부양책 기대 커져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 높일지 주목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일 회의를 열고 있다. 베이징/신화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일 회의를 열고 있다. 베이징/신화연합뉴스
중국 경제가 위기에 놓인 가운데 시진핑 국가주석 등 최고 지도부가 다음 주 모여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목표치와 경기부양책 등 내년 경제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회의를 연다.

블룸버그통신은 3일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지도부와 고위급 금융당국자들이 모여 11일부터 이틀간 비공개로 중앙경제공작회의를 연다고 보도했다. 지난해에도 같은 날 개최했다.

일반적으로 공산당은 중앙경제공작회의에 대해 미리 개최 시점을 공표하지 않으며, 회의에서 나온 구체적인 수치도 그다음 해 3월 열리는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까지는 공개하지 않는다. 다만 시장 참가자들은 회의 후 나올 성명을 통해 정책 입안자들이 내린 결론에 대한 단서를 찾는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투자자들은 다음 주 회의에서 당국이 더 많은 경기부양책을 계획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증시 상하이종합지수는 이날 장 초반 하락했다가 회의 소식에 0.44% 반등으로 장을 마쳤다.

UBS그룹과 바클레이스 이코노미스트들은 내년 중국 정부가 국내총생산(GDP)의 3.5~4.0%를 재정적자로 설정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의 경우 당국이 3.0%를 목표로 내걸었다. GDP 대비 적자 비율을 높이면 그만큼 당국이 더 많은 차입을 허용한다는 의미로, 이를 통해 경기 부양책의 규모를 가늠해볼 수 있다.

내년 경제성장률 목표치도 관심사다. 연초 중국 정부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5% 안팎’이라는 올해 목표치를 제시했다. 이후 성장률은 1분기 5.3%를 기록해 당국 전망에 부합하는 듯했지만, 2분기 4.7%, 3분기 4.6%로 점점 목표로부터 멀어졌다. 부동산 위기가 촉발한 경기 둔화와 내수 부진 등이 주된 원인이었다. 주요 글로벌 은행들도 올해 5% 달성이 어렵다면서 전망치를 줄줄이 하향했다.

블룸버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백악관 복귀가 양국 무역을 위축시킬 수 있는 관세 전쟁을 예고했지만, 중국 최고 지도부가 내년 성장 목표도 올해와 마찬가지로 5%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형식·절차 무시한 비상계엄, 尹 탄핵사유 명확”…‘내란죄’ 성립 가능성도
  • ‘계엄령 후폭풍’ 뭉치는 야권…탄핵·내란죄 고발 압박
  • 의료보건부터 회계·코딩까지…"국민내일배움카드로 국비 지원 받으세요" [경제한줌]
  • 헌재 정상화 시급해졌다…‘6인 재판관’ 체제론 탄핵 심판 부담
  • 한밤 난데없는 비상계엄...그날 용산에선 무슨 일이
  • [종합]발걸음 무거운 출근길...계엄령에 파업까지 민심도 뒤숭숭
  • 비상 계엄령에 한미동맹 어디로...트럼프 침묵
  • 총파업에 기름 부은 ‘계엄령’…산업계 발목 잡나?
  • 오늘의 상승종목

  • 12.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401,000
    • +1.41%
    • 이더리움
    • 5,222,000
    • +3.24%
    • 비트코인 캐시
    • 813,500
    • +9.27%
    • 리플
    • 3,695
    • +0.71%
    • 솔라나
    • 331,900
    • +4.54%
    • 에이다
    • 1,723
    • -2.1%
    • 이오스
    • 1,990
    • +26.91%
    • 트론
    • 550
    • +72.96%
    • 스텔라루멘
    • 722
    • -3.22%
    • 비트코인에스브이
    • 113,800
    • +11.57%
    • 체인링크
    • 34,400
    • -0.69%
    • 샌드박스
    • 1,146
    • +5.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