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상우 장관은 이날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경찰청,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등 관계기관과 함께 코레일 노사 간 협상이 결렬될 경우를 대비해 철도파업 대비 수송대책 점검회의(영상)를 주재했다.
국토부는 이날부터 파업 종료 시까지 철도, 버스, 항공 등 관계기관, 지방자치단체 등과 함께 정부합동 수송대책본부를 24시간 운영 중이다.
박 장관은 “지금은 겨울철 한파와 폭설로 인해 예측할 수 없는 교통혼잡이 우려되는 시점”이라며 “파업을 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모든 국민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코레일 노사는 책임감 있는 자세로 협상에 임해 마지막까지 합의를 이끌어내 달라”고 당부했다.
박 장관은 “만약, 교섭이 결렬돼 철도노조가 파업에 돌입하더라도 철도를 이용하는 국민의 안전이 최우선 과제”라며 “출‧퇴근 시간에 평상시보다 혼잡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주요 거점역에 대한 혼잡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관련 뉴스
박 장관은 특히 “파업기간 동안 이용객이 많은 KTX와 출‧퇴근 시간대의 광역전철에 대체인력을 집중적으로 투입하고 부족한 열차운행으로 인한 국민들의 교통수요는 고속‧광역버스, 택시, 국내선 항공기 등 가용 가능한 모든 대체교통수단을 최대한 투입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것”을 주문했다.
아울러 "철도시설 및 차량 안전점검과 묵묵히 필수유지 업무를 담당하는 다수의 철도작업자에 대한 안전관리에도 각별히 신경 써 줄 것”을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