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대형 아파트 입주절벽 오나… 2026년 1000가구대 ‘급감’ 전망

입력 2024-12-07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면적대별 서울 아파트 입주 가구수 (자료제공=부동산R114)
▲면적대별 서울 아파트 입주 가구수 (자료제공=부동산R114)
내년부터 서울에서 85㎡(이하 전용면적) 초과 중대형 타입의 아파트 입주 물량이 급격히 줄어든다. 대형 면적대 주거 선호도는 꾸준한 만큼 대형 타입 타입의 몸값이 더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7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과 내후년 서울 아파트 입주 예정물량은 각각 3만5915가구와 7983가구로 집계됐다.

특히 85㎡ 초과 타입의 감소 폭이 가파르다. 85㎡ 초과 중대형 입주물량은 올해 4068가구에서 내년 3124가구로 23.2% 줄어든다. 같은 기간 60㎡ 이하는 12.2%, 60~85㎡ 이하는 34.9% 만큼 증가할 전망이다. 입주 감소가 본격화되는 2026년에는 1068가구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올해 입주량의 26% 수준이다.

대형 면적대는 수요가 탄탄한 만큼 가격 변동성도 적다는 특징이 있다. 2022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3.42% 떨어졌지만, 85㎡ 초과 타입은 반대로 0.43% 올랐다.

소득 수준이 늘어나면 1인당 주거 면적은 더 확장될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실제 1인당 주거면적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2022년 기준 1인당 주거면적은 34.8㎡로 통계가 처음 공개된 2006년(26.2㎡)보다 8.6㎡가량 넓어졌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평면이 넉넉하면 홈 오피스, 자녀 공부방, 운동공간, 취미실 등 다양한 공간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며 “이 같은 특성은 서울 강남권 아파트 정비사업 조합들이 중대형을 선호하는 현상에서도 드러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왕 할 알바라면…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주휴수당'도 챙기세요 [경제한줌]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서 머리 다친 피해자 결국 사망
  •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폭발적 반응…챗GPT가 알려준 현 상황은? [해시태그]
  • 김수현 "김새론과 5년 전 1년여간 교제"…미성년자 시절 교제 재차 부인
  • 의대생 돌아왔지만…교육부 “실제 수업 정상 참여가 복귀”
  • 발란, 결국 기업회생 신청…최형록 “회생 인가 전 M&A 목표”
  • "결국 구기종목"…'골프공'이 골프채보다 비쌌다 [골프더보기]
  • 'NC파크 사망자 애도' KBO, 내달 1일 전 경기 취소…주중 창원 경기도 연기
  • 오늘의 상승종목

  • 03.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193,000
    • -1.67%
    • 이더리움
    • 2,681,000
    • -2.54%
    • 비트코인 캐시
    • 443,400
    • -3.12%
    • 리플
    • 3,087
    • -5.42%
    • 솔라나
    • 187,800
    • +0%
    • 에이다
    • 965
    • -5.48%
    • 이오스
    • 861
    • -1.82%
    • 트론
    • 345
    • -0.58%
    • 스텔라루멘
    • 392
    • -2.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580
    • -3.16%
    • 체인링크
    • 19,740
    • -3.66%
    • 샌드박스
    • 399
    • -2.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