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GC녹십자, 동아ST와 ‘mRNA-LNP’ 염증질환 “연구 확대”

입력 2024-12-09 10: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작년 10월 공동연구 후속 계약, ‘만성염증질환’ 치료제 발굴·개발

GC녹십자(GC Biopharma)는 9일 동아에스티(Dong-A ST)와 mRNA-LNP 기반 만성염증질환 신약개발을 위한 후속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두 회사는 지난해 10월 만성염증질환을 표적하는 새로운 약물타깃을 공동으로 선정하고 신규 모달리티(modality) 기반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공동연구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두 회사는 이번 후속계약을 통해 선정한 약물타깃에 대한 작용기전(mode of action, MoA)을 추가 확인하고 전임상 모델에서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계약에 따라 GC녹십자는 선정된 타깃에 작용할 수 있는 mRNA를 합성하고, 특정 조직에 전달(local delivery) 가능한 LNP를 스크리닝, 최적화할 계획이다. 동아에스티는 GC녹십자가 도출한 mRNA-LNP 물질의 작용기전을 밝히고 동물모델에서 유효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정재욱 GC녹십자 R&D부문장은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만성염증질환 분야의 치료제 개발을 위해 양사가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며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GC녹십자가 보유한 mRNA-LNP 기반 기술을 발전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신약개발에 확대 적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재홍 동아에스티 R&D 총괄 사장은 “지난해 양사간의 협력이 긍정적인 성과를 거둔 만큼 더욱 심도 있는 공동연구를 이어나갈 계획이다”며 “각 회사의 역량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혁신적인 면역질환 신약개발의 성과를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GC녹십자는 차세대 신약개발 플랫폼의 하나로 mRNA-LNP를 선정해 자체 기술력과 특허를 확보해 왔다. 현재 이를 바탕으로 독감백신을 포함한 다양한 예방백신, 치료제 연구를 진행중이며 이번 계약을 통해 mRNA-LNP 플랫폼의 응용 영역을 면역질환 분야까지 확장하게 된다.

동아에스티는 염증질환 분야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동아에스티는 지난해 11월부터 만성 염증질환을 타깃으로 매사추세츠 주립대의대와 AAV(adeno-associated virus) 매개 유전자치료제 공동연구를 시작했으며, 지난 1월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으로부터 밀크엑소좀 기반 경구 핵산 전달체 기술을 이전받고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764,000
    • +3.26%
    • 이더리움
    • 2,850,000
    • +4.93%
    • 비트코인 캐시
    • 461,200
    • +1.97%
    • 리플
    • 3,191
    • +2.57%
    • 솔라나
    • 188,300
    • +0.53%
    • 에이다
    • 1,017
    • +3.78%
    • 이오스
    • 1,034
    • +12.15%
    • 트론
    • 353
    • -1.12%
    • 스텔라루멘
    • 407
    • +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200
    • +2.53%
    • 체인링크
    • 21,170
    • +4.91%
    • 샌드박스
    • 413
    • +1.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