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조기 발주·착공으로 건설업 유동성 공급 지원"

입력 2024-12-16 11: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세훈 서울시장이 16일 서울시청 기획상황실에서 열린 건설 분야 비상경제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16일 서울시청 기획상황실에서 열린 건설 분야 비상경제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노후 인프라 정비·유지보수 예산 조기 집행 등을 통해 건설업계의 안정화를 돕겠다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16일 서울시청 기획 상황실에서 열린 건설 분야 비상경제회의에서 "고금리, 고환율, 원자재 가격·인건비 인상에 따른 공사비 상승, 유례없는 비용 압박으로 건설산업이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며 이런 뜻을 밝혔다.

서울시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한다. 우선 공공 건설공사의 조기 발주와 조기 착공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건설업계에 꼭 필요한 유동성이 적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건설업계의 의견 수렴을 거치고 정부와 협력해 적정 공사비·공사 기간 산정에도 나설 계획이다.

오 시장은 "최근 기술형 입찰의 잇따른 유찰과 건설업계의 높은 원가율 문제의 배경에는 적정한 공사비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 현실이 자리 잡고 있다"며 "이를 토대로 건설업계의 부담을 완화하고 건설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사각지대에 놓인 기능공 등 서민 근로자와 하도급·중소건설업체 근로자의 생계 보호를 위해 직접 소득 안전장치를 마련하겠다고도 했다.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건설근로자에게 주휴수당과 건강보험, 국민연금을 지원하고 있다. 내국인을 90% 이상 채용한 건설사업자에게는 고용개선 장려금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근로자의 임금까지 서울시가 직접 지급하는 등 임금 체불 예방 체계를 강화하고 내년부터는 폭염, 강설 등 극한 날씨 상황에서도 근로자의 최저 생계유지를 위한 소득이 보전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오 시장은 "건설업은 서울을 유지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데 가장 주요한 동력 중 하나"라며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묵묵히 현장을 지키고 있는 건설업계 종사자들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건설산업이 경제와 일자리를 뒷받침하는 든든한 미래 산업으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책임과 역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040,000
    • +2.87%
    • 이더리움
    • 2,797,000
    • +4.91%
    • 비트코인 캐시
    • 467,000
    • +7.11%
    • 리플
    • 3,242
    • +5.64%
    • 솔라나
    • 191,400
    • +3.24%
    • 에이다
    • 1,011
    • +6.2%
    • 이오스
    • 1,008
    • +12%
    • 트론
    • 347
    • +0%
    • 스텔라루멘
    • 407
    • +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560
    • +5.45%
    • 체인링크
    • 20,800
    • +6.56%
    • 샌드박스
    • 415
    • +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