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서울시민 1인당 개인소득 2937만원...8년째 1위

입력 2024-12-20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3년 지역소득(잠정) (통계청)
▲2023년 지역소득(잠정) (통계청)

서울이 8년째 전국에서 국내 1인당 개인소득이 가장 높은 도시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23년 지역 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1인당 개인소득(명목)은 2554만 원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2937만 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많았다. 서울은 2016년부터 울산을 제치고 1위로 올라선 뒤 지난해까지 8년 연속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2위는 울산(2810만 원), 3위는 대전(2649만 원)으로 모두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개인소득은 가계 총처분가능소득을 인구수로 나눈 값으로 가계 등이 임의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가계의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전국 1인당 지역내총생산(명목)은 4649만 원으로 전년보다 145만 원(3.2%) 증가했다. 울산, 충남, 서울 등은 전국 평균(4649만 원)을 웃돌았으나 대구, 부산, 광주 등은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전국 지역총소득(명목)은 2446조 원으로 전년보다 3.8%(91조 원) 증가했다. 경기도가 660조 원으로 가장 높았고 서울(620조 원), 경남(127조 원), 인천(124조 원)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 지역내총생산(명목)은 2404조 원으로 전년보다 77조 원(3.3%)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594조 원), 서울(548조 원), 충남(143조 원)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세종(17조 원), 제주(26조 원), 광주(52조 원)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에는 인천(117조 원)이 처음으로 부산(114조 원)을 앞섰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이 차지하는 비중은 52.3%였다.

실질성장률은 운수업, 제조업, 보건·사회복지업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 대비 1.4% 증가했다. 인천(4.8%), 대전(3.6%), 울산(3.2%) 등은 운수업, 제조업, 건설업 등이 늘어 증가했으나 충북(-0.4%), 전북(-0.2%)은 제조업, 농림어업 등이 줄어 감소했다.

전국 최종소비는 민간 소비와 정부 소비에서 모두 늘어 전년보다 4.6% 증가했다. 세종(4.5%), 제주(4.5%) 등은 전국 평균보다 더 많이 증가했다. 반면 충북(-3.2%)은 정부소비가 줄어 감소했고 서울(0.4%), 대구(0.5%) 등은 평균보다 작게 증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왕 할 알바라면…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주휴수당'도 챙기세요 [경제한줌]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서 머리 다친 피해자 결국 사망
  •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폭발적 반응…챗GPT가 알려준 현 상황은? [해시태그]
  • 정용진·김동선도 출사표...유통가, 왜 테마파크에 꽂혔나 [K테마파크 르네상스]
  • 의대생 돌아왔지만…교육부 “실제 수업 정상 참여가 복귀”
  • 발란, 결국 기업회생 신청…최형록 “회생 인가 전 M&A 목표”
  • "결국 구기종목"…'골프공'이 골프채보다 비쌌다 [골프더보기]
  • 개막 이후 '무패'…무적 LG, 대권 진입 시나리오 쓴다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3.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779,000
    • -1.94%
    • 이더리움
    • 2,666,000
    • -2.95%
    • 비트코인 캐시
    • 438,300
    • -4.28%
    • 리플
    • 3,065
    • -6.04%
    • 솔라나
    • 187,200
    • -0.11%
    • 에이다
    • 960
    • -5.79%
    • 이오스
    • 858
    • -0.69%
    • 트론
    • 347
    • +0%
    • 스텔라루멘
    • 389
    • -3.9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270
    • -4.3%
    • 체인링크
    • 19,570
    • -4.35%
    • 샌드박스
    • 397
    • -2.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