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격차 해소 오세훈표 '서울런', 전국 확산 시동

입력 2024-12-23 11: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런 학생 초청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런 학생 초청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교육격차 해소를 목표로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일명 '일타 강사' 수업을 제공하는 서울시 대표 정책 '서울런'이 전국 확산에 시동을 걸었다.

서울시는 23일 오후 2시 10분 서울시청에서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영환 충북도지사가 참석한 가운데 ‘서울시-충청북도 우수정책 교류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는다고 밝혔다.

협약을 통해 서울시는 교육사다리 ‘서울런’을, 충북은 의료 복지제도 ‘의료비 후불제’ 정책을 첫 교류한다.

충북은 도내 인구감소지역 6개 시·군(제천, 보은, 옥천, 영동, 괴산, 단양)에 거주하는 청소년 1200명과 ‘서울런’을 연계해 양질의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지역 출신 인재를 활용한 맞춤형 멘토링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충북의 교육환경 격차는 인구 유출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인구감소지역에서는 학생과 학부모가 더 나은 교육환경을 찾아 지역을 떠나고 있다. 이에 충북은 ‘서울런’을 적극 도입해 인구감소지역 학생에게 학습·멘토링을 제공, 인구 유출을 막고 지역 정착 여건을 개선해 저출생 문제를 극복한다는 구상이다.

서울시 대표 교육격차 해소 정책인 ‘서울런’을 통해 올해 682명이 대학에 진학했다. 서울런 수강생 1084명 중 63%로, 전년(462명) 대비 220명(47.6%) 늘어났다. 서울연구원 조사 결과 서울런 이용 후 학교 성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 ‘상’으로 21.1%p 상승(15%→ 36.1%), 성적 ‘하’ 28.1%p 감소(33.2%→ 5.1%)를 보였다.

교육 콘텐츠는 ‘서울런’ 플랫폼과 연계된 사이트를 통해 제공된다. 서울시는 서울런 공동활용 플랫폼 제공, 멘토링 운영 지원 및 홍보, 진로 진학 상담·직업 체험 등 특화프로그램 운영 지원 등 전반적인 사업 운영에 협력할 예정이다.

시와 충청북도는 ‘서울런’이 소득계층 간 교육사다리에서 나아가 서울과 지역 간 교육 격차를 해소하는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정책 공유는 학생 성적 향상과 사교육비 경감 등에 성과가 확인된 ‘서울런’을 지역으로 확산하는 첫 번째 사례로, 서울시는 앞으로 희망하는 지역이 있다면 정책 노하우와 플랫폼 공유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27일 강원도 평창군과도 서울런 플랫폼 공동 활용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는다.

한편 서울시는 충청북도의 대표적인 의료 복지제도 ‘의료비 후불제’ 사업을 벤치마킹하기로 했다. 충청북도의 ‘의료비 후불제’는 목돈 지출 부담으로 제때 치료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의 의료비를 융자로 지원해 주고 환자는 무이자 장기분할상환하는 제도다. 두 지자체는 ‘의료비 후불제 시범사업 도입 서울-충북 공동 T/F 구성’에 관한 실무적인 업무협약도 맺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왕 할 알바라면…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주휴수당'도 챙기세요 [경제한줌]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서 머리 다친 피해자 결국 사망
  •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폭발적 반응…챗GPT가 알려준 현 상황은? [해시태그]
  • 김수현 "김새론과 5년 전 1년여간 교제"…미성년자 시절 교제 재차 부인
  • 의대생 돌아왔지만…교육부 “실제 수업 정상 참여가 복귀”
  • 발란, 결국 기업회생 신청…최형록 “회생 인가 전 M&A 목표”
  • "결국 구기종목"…'골프공'이 골프채보다 비쌌다 [골프더보기]
  • 'NC파크 사망자 애도' KBO, 내달 1일 전 경기 취소…주중 창원 경기도 연기
  • 오늘의 상승종목

  • 03.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094,000
    • -0.25%
    • 이더리움
    • 2,725,000
    • +0.52%
    • 비트코인 캐시
    • 450,800
    • -0.07%
    • 리플
    • 3,123
    • -2.56%
    • 솔라나
    • 187,200
    • -0.32%
    • 에이다
    • 982
    • -1.11%
    • 이오스
    • 924
    • +4.05%
    • 트론
    • 357
    • +2.88%
    • 스텔라루멘
    • 396
    • -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910
    • -2.01%
    • 체인링크
    • 20,280
    • -0.25%
    • 샌드박스
    • 404
    • -0.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