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 짓누르는 3대 과잉…건설·부채·생산능력

입력 2025-01-02 15:26 수정 2025-01-02 18: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부동산 거품 붕괴에 가계자산 18조 달러 증발
지방정부 숨은 부채 경제 뇌관으로
과잉생산 국제 문제 비화…무역 긴장 촉발
사회 긴장 고조·트럼프 복귀에 시험대 올라

중국의 많은 부채, 과도한 건설, 과잉 생산이 국내외에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 경제는 현재 3대 과잉으로 인한 부담을 안고 있다. 과도한 건설로 인해 수천만 채의 아파트가 비어있거나 미완성으로 남아 있으며, 수조 달러에 달하는 부채가 지방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또 수출 급증을 주도한 산업생산은 전 세계적으로 무역 긴장을 촉발하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바클레이스는 중국 부동산시장 거품 붕괴로 인해 2021년부터 약 18조 달러(약 2경6398조8000억 원)의 중국 가계자산이 증발했다고 추산했다. 이는 가구당 약 6만 달러에 해당하는 규모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미국인이 입은 손실을 넘어서는 규모다. 당시 미국 가계의 손실은 현재 가치로 환산할 경우 주식과 다른 자산 등을 포함해 약 17조 달러에 이르렀을 것이라고 WSJ는 전했다.

이러한 타격은 코로나19 대유행 후폭풍과 함께 중국 소비자들의 소비가 위축된 이유를 설명해준다. 사상 최대 부동산 거품 붕괴로 경제가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경제 대국이 되겠다는 중국의 목표 또한 예상했던 것 보다 수십 년 더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부채 문제 또한 중국 경제의 위험 요소다. 중국 정부, 가계, 기업 등의 총부채는 연간 국내총생산(GDP)의 약 300%에 육박한다. 특히 지방정부가 자금을 조달 하면서 조성된 ‘숨겨진 부채’는 중국 경제의 뇌관으로 꼽힌다. 일부 지표에 따르면 중국 부채 규모나 상환 부담은 금융위기 이전의 미국이나 10년 전 부채 위기를 겪었던 유럽보다 더 심각한 수준으로 평가된다.

중국의 과잉생산은 국제적인 문제로 비화하는 추세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경기 둔화에 대응하고 자국을 기술 대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공장 부문에 투자를 집중했다. 이로 인해 제조업체들이 과잉생산으로 고통받고 물건 가격이 하락했다. 중국 기업들은 자국 내 소화하지 못한 상품을 팔기 위해 점점 더 해외로 눈을 돌렸다. 이로 인해 미국 등 서방 국가나 브라질, 인도 등 신흥 시장과의 무역 분쟁이 촉발되고 있다.

중국 경제는 수십 년간 엄청난 규모의 투자에 힘입어 성장해왔다. 처음에는 현대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제조업 엔진과 대도시를 확장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하지만 계속 이러한 전략을 고수하면서 오늘날 중국은 막대한 부채, 불필요한 아파트, 과잉 생산이라는 부작용에 시달리게 됐다고 WSJ는 지적했다.

중국은 3월 개최되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2025년 경제 성장률 목표치를 발표할 예정이다. 당국이 자신감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목표치였던 ‘5% 안팎’의 성장률을 반복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3대 과잉 문제의 해결책이 좀처럼 보이지 않는 데다가 사회적 긴장 고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까지 겹치면서 새해 중국 경제는 시험대에 설 것으로 전망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6㎜ 얇기에 AI까지 강화”…‘갤럭시 S25 슬림’ 관전 포인트는?
  • 美 내전 상상해 그려낸 '시빌 워'…분열의 시대가 왔다 [시네마 천국]
  • 본격적으로 막 오르는 겨울 산천어ㆍ곶감 축제 [주말N축제]
  • 산타랠리는 없었다…뉴욕증시, 5거래일 만에 반등
  • 16번째 생일 맞은 비트코인…직전 생일엔 ‘상승’ 올해엔?
  • “건설업계, 올해도 악화일로… 분양시장 불확실성 경계해야”
  • 중국서 힘 잃은 ‘K뷰티 빅2’, 올해 새 동력은 M&A
  • 새해 펼쳐질 우주쇼는?…행성퍼레이드ㆍ슈퍼문ㆍ유성우 등 즐비
  • 오늘의 상승종목

  • 01.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911,000
    • -0.3%
    • 이더리움
    • 5,362,000
    • +0.62%
    • 비트코인 캐시
    • 702,000
    • +0.21%
    • 리플
    • 3,581
    • -1.46%
    • 솔라나
    • 318,200
    • -0.47%
    • 에이다
    • 1,585
    • -1.67%
    • 이오스
    • 1,333
    • -3.62%
    • 트론
    • 398
    • -0.25%
    • 스텔라루멘
    • 664
    • -0.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3,950
    • +2.88%
    • 체인링크
    • 34,920
    • -0.37%
    • 샌드박스
    • 957
    • +1.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