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美 농산물 대상 보복 관세 예상
멕시코, 소형 화물에 최대 19% 관세
중국의 실질 경제성장률이 ‘트럼프 관세 후폭풍’으로 인해 10년 뒤 1%대로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2일 일본경제연구센터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미국이 중국에 60%, 다른 국가 및 지역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상대국의 보복 조치가 없을 시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올해 3.4%로 하락하고 2035년엔 1.8%까지 떨어질 것으로 추산했다고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해 대선에서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60%로 끌어올리겠다고 공언했다. 지난해 11월에는 중국산 거의 모든 수입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멕시코와 캐나다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실제 도입 여부와 시기 등은 향후 협상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이지만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클 것으로 전망된다.
추가 관세가 10%라면 중국 수출은 2.3% 감소하고, 60%일 경우 약 14% 줄어들 것으로 점쳐진다. 대중국 관세가 60%로 인상되면 미국 수입에서 중국 비중이 높은 의류, 신발, 장난감 등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
중국은 아직 공식적으로는 보복 조치를 예고하지는 않은 상태다. 중국 상무부는 “일방적인 관세 인상에 반대한다”고 반발했다. 이강 전 중국 인민은행 총재는 지난달 “민의에 부응하려면 보복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인 2018~2019년 미·중 무역 전쟁 당시에는 중국이 대두 등 미국산 농산물을 보복 관세의 첫 타깃으로 삼았다. 트럼프 당선인의 지지자가 많은 농가에 타격을 주려는 의도였다. 최근 대두 수입에서 미국산을 줄이고 남미에서 조달을 늘리는 등 수입처를 분산하고 있지만 이번에도 무역 마찰로 비화하면 농산물을 보복 대상으로 삼을 가능성이 있다.
관세 장벽을 높이는 국가가 미국뿐만은 아니다. 멕시코는 1일 택배 회사를 통해 수입되는 소형 화물에 최대 19%의 관세를 부과하는 규정을 새롭게 도입했다. 멕시코와 국제조약을 맺지 않은 중국 등에서 택배 회사를 통해 수입되는 상품에 대해 일률적으로 19%의 관세를 부과한다. 중국계 전자상거래(EC) 업체인 테무와 셰인도 표적이 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