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캐나다·멕시코·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결정이 미국인에 고통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고 CNN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미국의 황금기가 이뤄질 것”이라면서 “고통이 있을까. 그렇다. 아마도(아닐 수도 있다)”라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는 전일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관세 부과는 4일부터 발효된다.
트럼프는 이어 “우리는 다시 미국을 위대하게 만들 것이고, 이 모든 것이 대가를 치를 만한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캐나다는 우리의 소중한 51번째 주가 돼야 한다”면서 캐나다 국민에게 훨씬 낮은 세금, 더 나은 군사적 보호, 무관세 등 대선에서 이긴 후 계속해서 해왔던 발언들을 재차 언급했다.
이에 캐나다, 멕시코, 중국은 즉각 대응에 나섰다. CNN은 “만약 상호 간의 관세 부과 긴장이 오랜 기간 유지된다면, 트럼프가 경고했던 ‘고통’이 현실이 될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팀 케인(민주·버지니아) 상원 의원은 이날 “미국인들은 며칠 안에 주유소 가격이 오르는 것을 보게 될 것이며 다른 국가의 보복 관세가 발효되면 미국 기업들이 피해를 볼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에서는 새로운 관세를 시행해 상대국으로부터 일정한 양보를 얻어내면 결국 트럼프가 관세를 완화하길 기대하고 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공화당 상원의원 린지 그레이엄은 폭스뉴스선데이에서 “이 관세는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설계된 것이다. 그리고 변화가 이뤄진다면, 아마도 관세는 철회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CNN은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떤 양보가 필요한지는 명확하지 않다”면서 “트럼프는 관세를 시행하기 전에 캐나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나 멕시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과 만나거나 전화로 대화하며 요구 사항을 설명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트뤼도는 1일 트럼프가 취임한 후 연락을 시도해왔지만, 회신을 받지 못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CNN은 또 “백악관 관계자들은 이날 기자들에게 브리핑하면서 캐나다나 멕시코가 국경을 더 강화하거나 펜타닐 유입을 억제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관세가 철회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을 밝히기를 거부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