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관세 고통’을 감수할 가치가 있다며 캐나다ㆍ멕시코ㆍ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의지를 강조했다. 이에 캐나다는 즉각 보복 관세 조치를 내놓았다. 멕시코는 3일 미 관세 대응책 발표를 예고했다. 중국도 상응하는 조치로 맞서겠다는 입장이다.
트럼프가 전일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국가 간 관세 전쟁이 더욱 격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는 4일부터 발효된다.
CNNㆍNBC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미국의 황금기가 이뤄질 것”이라면서 “고통이 있을까. 그렇다. 아마도(아닐 수도 있다)”라고 밝혔다.
트럼프는 이어 “우리는 다시 미국을 위대하게 만들 것이고, 이 모든 것이 대가를 치를 만한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캐나다를 지목해 “우리의 소중한 51번째 주가 돼야 한다”면서 캐나다 국민에게 훨씬 낮은 세금, 더 나은 군사적 보호, 무관세 등 대선에서 이긴 후 계속해서 해왔던 발언들을 재차 언급했다.
이에 캐나다ㆍ멕시코ㆍ중국도 응전에 나섰다.
캐나다는 전일 1550억 캐나다달러(약 156조 원, 6060억 미국 달러)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25% 맞불 관세를 부과한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3국 가운데 가장 먼저 대응 세부 조치를 제시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또 이날 기자회견에서 “4일부터 300억 달러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대해 즉각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며 “나머지는 캐나다 기업이 공급망 대안을 찾을 수 있도록 3주 후에 적용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트뤼도 총리는 또 “미국의 관세 조치와 마찬가지로 우리의 대응도 광범위할 것”이라며 “맥주, 와인, 버번위스키, 오렌지 주스를 포함한 과일 주스, 채소, 향수, 의류, 신발과 같은 일상용품도 있다”고 언급했다.
중국에 이어 캐나다 정부도 WTO에 제소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이어 미국과 캐나다 동맹의 오랜 역사를 강조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에 새로운 황금기를 열고 싶다면, 더 나은 길은 우리를 처벌하는 것이 아니라 캐나다와 협력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미국인에게는 “미국 국민에게 실질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캐나다 자국민들을 향해서는 “매장에서 미국산 대신 캐나다산 제품을 선택하고 여름 휴가 계획을 캐나다에 머무르는 것으로 바꾸는 등 자신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 달라”라고 촉구했다.
멕시코는 3일 미국 관세에 대한 구체적 대응을 공개하겠다고 발표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이날 온라인 국민 연설에서 “미국의 관세에 맞서 멕시코를 방어하기 위한 ‘플랜 B’ 세부사항을 3일 발표할 예정이다”고 알렸다.
앞서 멕시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은 전날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관세 및 비관세 조치를 포함해 경제부 장관에게 플랜 B를 시행하라고 지시했다”고 발표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 플랜 A·B·C로 대응하겠다고 밝혀왔다. 여기에는 미국과 협상을 통해 관세 부과를 피하는 플랜A와 보복 관세, WTO 제소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현지 언론들은 분석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또 자신의 소셜미디어 X(엑스·옛 트위터)를 통해 공개한 동영상 연설에서 “우리는 냉철한 머리와 국민에 대한 사랑으로 행동해야 한다”며 “미국에 있는 멕시코 형제자매 여러분, 여기 여러분을 지켜줄 대통령과 국민 전체가 있다”고 말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명령한 관세는 양국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무엇보다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제품 비용을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멕시코는 대결을 원치 않으며 오히려 미국과 협력해 관세의 원인이 된 이민ㆍ마약 문제를 해결하기를 원한다”고 역설했다.
중국 상무부는 담화에 WTO 제소 ㆍ반격 조치 방침을 내놓았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한 담화문에서 “미국 백악관은 펜타닐 등 문제를 이유로 중국의 미국 수출 제품에 10% 관세를 추가 부과한다고 선포했다”면서 “미국의 일방적 조치로 WTO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어 “중국은 WTO에 제소하고, 상응한 반격을 취해 권익을 지킬 것”이라고 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