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구, 편리함‧안전 모두 잡은 마을버스 이용 환경 만든다

입력 2025-02-04 09: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마을버스 정류소(해방촌 오거리)에 설치된 버스정보안내단말기(BIT) 모습. (사진제공=용산구)
▲마을버스 정류소(해방촌 오거리)에 설치된 버스정보안내단말기(BIT) 모습. (사진제공=용산구)

서울 용산구는 구민들의 마을버스 이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마을버스 이용 환경 개선 사업을 추진한다.

주요 사업 내용은 △버스정보안내단말기(BIT) 추가설치 △’마을버스 모니터단’ 구성 및 운영 △마을버스 노선 재정비 연구용역 등이다.

먼저 올해 7월까지 마을버스 정류소 32곳에 버스정보안내단말기(BIT)를 새로 설치한다. 지난해까지 용산구 내 마을버스 정류소에 설치된 BIT는 12곳에 불과했으나 마을버스 이용자들의 높은 만족도와 추가 설치 요청이 많았다. 구는 정류소의 정보 정확도, 일일 이용 승객 수, 현장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마을버스 정류소를 선정했다. 특히 보안이 필요한 지역 3곳의 정류소에는 112 상황실과 연결되는 안심벨도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다.

또한 구는 마을버스 이용자들의 불편 사항을 신속하게 개선하기 위해 ‘마을버스 모니터단’을 구성하여 운영할 계획이다. 3월에는 용산구민을 대상으로 모니터단을 모집하고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활동할 예정이다.

모니터단은 월 2회 현장 점검을 진행하며 △정류소 무정차 통과 △난폭운전 △차량 내부 상태 등을 중점적으로 확인한다. 점검 결과는 마을버스 운수 회사에 전달하고 시정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독할 예정이다.

한편 용산구의 특성에 맞는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마을버스 노선 재정비 연구용역’도 추진한다. 이번 용역은 민선 8기 공약의 일환으로 대중교통이 부족한 원효로2동과 이촌2동의 노선을 재조사하고 신규 노선을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현재 운영 중인 문화시설 셔틀버스 간의 노선도 재정립할 계획이다.

이번 용역을 통해 보다 합리적인 노선 체계를 마련하여 대중교통의 편의성을 높이고 서울시와의 협의 시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구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이번 마을버스 이용 환경 개선 사업을 통해 구민들의 교통 불편을 해소하고, 더 나은 교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구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통 환경을 만들어 가겠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멕시코 이어 캐나다 25% 관세도 한 달 유예
  • 현대차 노조까지 확전 가능성…통상임금 소송전 본격화
  • 비트코인, 관세 유예 합의에 껑충…10만 달러 복귀 [Bit코인]
  •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스페이스X 등 고객사 확보…“밀려드는 주문에 美 현지 증설”
  • 시즌 마지막 경기…'최강야구' 대학 올스타 잠실 직관전 결과는?
  • 오픈AI, 신규 상표 등록 신청…로봇ㆍ양자컴퓨터 포함
  • 이주은 치어리더 대만행, 계약금 4억?…그들을 막을 수 없는 이유 [해시태그]
  • 중국 ‘딥시크’, AI 성능은 인정받았지만…“그래서 데이터 유출 우려는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2.04 12:5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6,789,000
    • +2.95%
    • 이더리움
    • 4,366,000
    • +5.95%
    • 비트코인 캐시
    • 533,500
    • +5.85%
    • 리플
    • 4,222
    • +15.01%
    • 솔라나
    • 334,600
    • +3.69%
    • 에이다
    • 1,228
    • +13.28%
    • 이오스
    • 968
    • +7.2%
    • 트론
    • 351
    • +0.29%
    • 스텔라루멘
    • 564
    • +8.8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400
    • +11.51%
    • 체인링크
    • 32,440
    • +11.29%
    • 샌드박스
    • 653
    • +13.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