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진투자증권은 한미약품의에 대해 “2024년 매출액은 1조4955억 원, 영업이익은 2162억 원을 기록하며 3분기부터 북경한미의 실적 부진으로 기대치를 하회했다”면서 “이를 반영해 2025년 순이익을 조정 대비 13%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하나 목표주가는 종전 44만 원에서 38만 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현재주가(4일 기준)는 23만8000원이다.
권해순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한미약품 실적에서 북경한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에 따르면 북경한미는 2023년 한미약품의 연결 영업이익의 44%에 기여했다.
권 연구원은 “(북경한미는) 한미약품이 타 제약사 대비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을 받고 있는 중요한 성장 동력”이라면서 “그러나 2024년부터 본격화된 북경한미에 대한 경영권 분쟁이 부정적 영향을 미치면서 3분기부터 4분기까지 부정적 영향이 지속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관련 뉴스
이어 “2025년 초 경영권 분쟁이 해소되고 있다는 점에서 중장기 관점으로 한미약품의 현 주가 수준은 투자 매력이 높다고 판단한다”면서 “향후 북경한미의 경영 정상화에 따른 실적 회복 속도가 한미약품의 주가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 연구원은 “(연구개발은) MK-6024(에피노페그듀타이드·2020년 MSD에 기술이전한 MASH치료제) 글로벌 임상2상 결과가 2025년 말 가시화될 전망”이라면서 “MSD는 MK-6024 글로벌 임상을 2개 추가하였으며, 2024년 J.P. 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도 연내 긍정적 임상 데이터를 발표할 것으로 언급했다”고 전했다.
이어 “2025년 말 글로벌 임상2상 결과에 따라 한미약품의 신약 파이프라인 가치 변동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최근 활발하게 진행 중인 전임상 및 임상 초기 비만치료제 파이프라인들의 가치는 아직 기업가치에 반영하기 이르다고 판단하여 목표주가 산정에 반영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