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 "CET1 비율 13% 이상 유지…주주환원 목표대로 추진"

입력 2025-02-06 16: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6일 2024 연간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열어
"우량자산 위주의 성장 지속할 것"

신한금융그룹이 올해 위험가중자산(RWA) 관리를 위해 우량자산 위주로 성장을 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올해 보통주자본비율(CET1)을 13% 이상 안정적으로 유지해, 주주환원 정책을 차질없이 지속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천상영 신한금융 최고재무책임자(CFO)는 6일 열린 2024 연간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올해 세 차례 정도의 금리인하로 이자수익은 약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이만 금리하락기엔 유가증권 등 비이자수익에서 큰 폭 개선이 기대된다"며 "그룹 내부에서 RWA 패널티나 자본수익률(ROC) 평가 기준을 명확히 해 RWA를 컨트롤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RWA를 감안한 성장정책, WM과 IB딜 수임 등을 중심으로 펀더멘털을 개선해 올해도 CET1을 13% 이상 안정적으로 유지하겠다"면서 "CET1은 13.1% 수준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만큼 주주환원도 지속해나갈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방동권 신한금융 최고연구책임자(CRO)도 "자본비율 최적화를 위해 우량자산 위주의 성장을 지속하고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은 신속하게 정리하겠다"며 "RWA 감축 또는 이전 효과를 위해 투자은행(IB) 셀 다운(자산 재매각), 자산 유동화, 신용 이전거래 등을 고려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날 컨콜에서는 신한금융의 비은행 부문 실적에 대해서도 언급됐다. 천 CFO는 "내부적으로 작년 한 해를 돌아보면 비은행 부문의 실적이 부진했던 게 아쉬운 부분"이라며 "자산신탁이나 증권, 캐피탈 등 대부분의 손익이 감소한 요인이 (부동산 관련 등)충당금 영역"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개별 그룹사 중 자산신탁의 경우 책준신탁 계정대 투입이 지속되면서 손실 반영이 연중으로 지속됐다"며 "자산신탁의 명목 손익이 마이너스 3000억 원 정도 되는데 소송 관련 충당금 등을 감안하면 실질적인 마이너스 규모는 1840억 원 정도"이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지난해와 같은 거액의 손실 요인이 이제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고만 하더라도 거기서 발생하는 기저 효과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내부적으로는 분기별 경상 체력이 최소한 1조4000억 원에서 1조5000억 원은 충분히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런 부분을 감안하면 올해 손익은 전년도에 비해서 큰 폭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5년차 예능인"…유느님이 사는 '브라이튼 N40'은 [왁자집껄]
  • '딥시크' 차단 부처 확산…대통령실 "애초 접속 금지", 국회 "아직 접속"
  • 뉴진스 하니 이후 또…故 오요안나는 근로자일까 [이슈크래커]
  • 전세계 주문 쏟아지는데…주 52시간에 멈춰선 삼성전자 [반도체, 韓생존 달렸다②]
  • 재건축에 토허제 해제까지…몸값 높인 목동신시가지, 매수인 줄 선다[르포]
  • 준우승과 준우승…‘무관의 역사’ 손흥민 굴욕 깰까? [해시태그]
  • "듣기 싫어요"…현대인의 무음방패 '노이즈 캔슬링' [데이터클립]
  • 2025년 혜택 업그레이드된 ‘청년도약계좌’로 목돈 마련해볼까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0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2,688,000
    • -0.62%
    • 이더리움
    • 4,319,000
    • -0.76%
    • 비트코인 캐시
    • 506,500
    • -3.25%
    • 리플
    • 3,730
    • -6.07%
    • 솔라나
    • 308,100
    • -4.05%
    • 에이다
    • 1,150
    • -3.93%
    • 이오스
    • 929
    • -4.52%
    • 트론
    • 357
    • +1.13%
    • 스텔라루멘
    • 513
    • -4.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700
    • -4.42%
    • 체인링크
    • 30,050
    • -3.31%
    • 샌드박스
    • 602
    • -6.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