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형 주담대 확대 정책에도…변동형 선택 '쑥'

입력 2025-02-12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2-11 18:41)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변동금리형 비중 석 달째 확대…지난해 12월 말 가장 높아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커…"금리 인하기 변동형 선호"

#서울에 사는 직장인 김명환(40대, 가명)씨는 최근 주택담보대출을 받기 위해 은행 창구를 찾았다. 대출을 조금이라도 더 받기 위해서는 고정금리형 주담대 상품이 유리하지만 금리를 무시할 수는 없었다. 특히 올해 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고 있어 변동금리형 주담대로 마음이 더 쏠린다.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고정금리형 주담대 비중 확대를 추진하고 있지만 변동금리형 상품을 선택하는 차주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아지자 이자를 한 푼이라도 낮추려는 계산에서다.

11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신규 취급액 기준 은행권 가계 주담대 중 고정금리형과 변동금리형 비중이 각각 81.3%와 18.7%로 집계됐다. 변동금리형 대출 비중은 지난해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10.7%에서 11월 18.6%로 급증한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석 달째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높아진 주된 원인은 시장금리 하락에 대한 기대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은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동결에 했으나 채권 시장에선 올해 기준금리가 2차례 인하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채권시장은 기준금리 향방의 가늠자로 불린다. 당장 국고채 3년물 금리가 최근 2.5%대로 하락하며 2월 금리 인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통상 변동금리 대출은 주기적으로 금리가 바뀌기 때문에 은행들이 만기를 짧게 잡아 저금리로 자금을 조달해 고정금리 대출보다 금리가 낮다. 반면 고정금리 대출은 만기가 5년, 10년 등 길어 장기 금리 리스크에 따른 가산금리가 적용돼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하가 기정사실로 굳어진 상황에서 차주 입장에서는 당연히 변동금리형이 매력적일 수밖에 없다"며 "실제 시장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변동금리 대출을 선택하는 것이 단기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고정형 금리 대출을 확대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가계부채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다. 이에 금융당국은 시중은행에 자체 고정형 주담대 목표비율을 30%로 설정하는 내용의 행정지도까지 실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일선 창구에선 금리 상황을 고려했을 때 금융소비자들에게 무작정 고정형 금리 대출 상품을 권하기란 쉽지 않다고 토로한다. 전문가들도 고정형 금리 상품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이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권흥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주담대 수요자가 과거 경험을 기반으로 변동금리 주담대의 리스크를 충분히 이해하지 않는 한 공급 변화를 유도할 수는 없다"면서 "보다 근본적으로 금리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빚에 의존하는 기업들…단기차입금 700조 육박 [기업 급전 경고등]
  • 화제성 떨어지는 아시안게임, 'Z세대' 금빛 질주가 기 살렸다 [이슈크래커]
  • 이재명 명언 모음Zip [데스크 시각]
  • 글로벌 빅파마 사로잡은 K바이오…빅딜‧공동연구 확대
  • “후분양 장점 알지만”…수요자는 잔금 부담, 시공사는 미분양 우려에 ‘절레’
  • 갤럭시 S25, 초기 대박 비결은… '가격·성능·AI' 삼박자
  • 뉴욕증시, 파월 금리인하 ‘신중모드’에 혼조...나스닥 0.36%↓
  • 뉴진스 하니, 국내 활동은 어렵다?…어도어 비자연장 신청 거부
  • 오늘의 상승종목

  • 02.12 13:3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018,000
    • -1.89%
    • 이더리움
    • 3,933,000
    • -3.18%
    • 비트코인 캐시
    • 498,000
    • -2.26%
    • 리플
    • 3,627
    • -2.42%
    • 솔라나
    • 294,500
    • -3.95%
    • 에이다
    • 1,147
    • +0.97%
    • 이오스
    • 941
    • -4.85%
    • 트론
    • 359
    • -4.27%
    • 스텔라루멘
    • 474
    • -2.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700
    • -3.93%
    • 체인링크
    • 27,940
    • -5.45%
    • 샌드박스
    • 575
    • -5.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