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가계대출 9000억 원↓…10개월 만에 감소세

입력 2025-02-12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월 금융권 가계대출 동향 발표
주담대 3조3000억 원 증가…증가폭 축소

올해 1월 모든 금융권 가계대출이 전달 대비 9000억 원 줄었다. 지난해 3월 이후 10개월 만에 감소세 전환이다. 겨울철 주택거래 둔화하면서 주택담보대출 잔액 증가세가 주춤한데다 연말·명절 상여금 지급 등 영향으로 신용대출 잔액이 감소한 영향이다.

금융위원회가 12일 발표한 '2025년 1월 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가계대출 규모는 1667조7000억 원으로 지난해 12월 보다 9000억 원 감소했다.

주담대는 3조3000억 원 증가해 전월 3조4000억 원 대비 증가폭 소폭 축소됐다. 은행권은 8000억 원에서 1조7000억 원으로 증가폭이 확대됐으나, 제2금융권은 증가폭(2조6000억 원→1조6000억 원)이 축소됐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4조2000억 원 감소해 전월(1조4000억 원) 대비 감소폭이 확대됐는데, 이는 제2금융권의 감소폭(3000억 원→2조 원)이 전월 대비 큰 폭으로 확대된 점 등에 기인했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권 가계대출 감소폭은 전월 수준을 유지했으며, 제2금융권은 감소세로 전환됐다.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은 4000억 원 감소해, 전월과 유사한 감소폭을 유지했다. 정책성대출은 전월 대비 증가폭이 축소(2조5000억 원→2조3000억 원)됐다. 은행 자체 주담대는 감소폭이 1조7000억 원에서 6000억 원으로 줄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1조1000억 원으로 전월(2조1000억 원) 대비 감소폭이 축소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감소세로 돌아서면 지난달 5000억 원이 줄었다. 상호금융권(2조2000억 원→-2000억 원)과 보험(3000억 원→-5000억 원)은 전월 대비 감소세로 전환했고, 여전사(-3000억 원→100억 원)는 감소폭이 축소됐으며, 저축은행(1000억 원→2000억 원)은 증가폭이 확대됐다.

금융당국은 "월별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10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으나 은행권 주담대는 연초 영업재개 및 자율관리 완화 등으로 전월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면서 "정책대출도 꾸준히 증가세를 유지중인 만큼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본격적인 영업 개시와 신학기 이사수요 등이 더해져 2월부터는 가계대출이 증가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며 "가계부채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주택시장·금리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최근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 주택이 증가하고 건설투자 감소세가 지속되는 등 어려운 상황임을 감안해 당분간은 지방으로의 자금공급 현황 등에 대해서도 면밀히 살펴볼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빚에 의존하는 기업들…단기차입금 700조 육박 [기업 급전 경고등]
  • "골프 입문, 어렵지 않아요"…적절한 클럽 고르기 [골프더보기]
  • 이재명 명언 모음Zip [데스크 시각]
  • 글로벌 빅파마 사로잡은 K바이오…빅딜‧공동연구 확대
  • “후분양 장점 알지만”…수요자는 잔금 부담, 시공사는 미분양 우려에 ‘절레’
  • 갤럭시 S25, 초기 대박 비결은… '가격·성능·AI' 삼박자
  • 뉴욕증시, 파월 금리인하 ‘신중모드’에 혼조...나스닥 0.36%↓
  • 뉴진스 하니, 국내 활동은 어렵다?…어도어 비자연장 신청 거부
  • 오늘의 상승종목

  • 02.12 15:0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334,000
    • -1.93%
    • 이더리움
    • 3,954,000
    • -3.18%
    • 비트코인 캐시
    • 500,500
    • -2.44%
    • 리플
    • 3,649
    • -3.13%
    • 솔라나
    • 296,300
    • -3.77%
    • 에이다
    • 1,161
    • -3.41%
    • 이오스
    • 951
    • -4.42%
    • 트론
    • 362
    • -2.43%
    • 스텔라루멘
    • 479
    • -3.6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100
    • -3.98%
    • 체인링크
    • 28,160
    • -4.35%
    • 샌드박스
    • 576
    • -7.25%
* 24시간 변동률 기준